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대표적인 제조업 지표인 광공업 생산은 전월 대비 1.8% 감소했다.
이는 1월의 -0.1%에 이어 두달째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으로 광공업 생산이 두달 연속 감소한 것은 지난해 2~3월 이후 11개월 만에 처음이다.
통계청은 1월 광공업 생산이 0.1% 증가했다고 지난달 발표했지만 수치를 확정하는 과정에서 -0.1%로 보정했다.
광공업생산 증가율이 지난해 내내 등락을 거듭하다 10월 이후 증가세를 굳히는가 했지만 다시 한번 감소세를 기록한 것이다.
2월 전 산업 생산은 전월 대비 1.2% 줄어 지난해 11월 이후 3개월 만에 감소세를 기록했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해 주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각각 0.1포인트 감소했다. 동행지수와 순환지수 순환변동치가 하락세로 돌아선 것은 지난해 9월 이후 5개월만이다.
제조업생산은 전기장비(5.8%), 의복 및 모피(14.9%) 등에서 증가했으나, 자동차(-7.2%), 반도체 및 부품(-4.9%) 등이 줄어 전월대비 1.9% 감소했다.
전년 동월대비로는 기타운송장비(-7.7%), 석유정제(-6.7%) 등에서 감소했으나, 자동차(11.3%), 1차금속(12.5%) 등이 늘어 4.5% 증가했다.
생산자 제품출하는 기타운송장비(7.1%), 반도체 및 부품(1.7%) 등에서 증가했으나, 자동차(-5.4%), 금속가공(-5.9%) 등이 줄어 전월대비 0.8% 감소했다. 전년 동월대비로는 3.4% 증가했다.
내수 출하는 전월 대비 0.5% 감소했다. 자동차(-3.7%), 비금속광물(-8.0%) 등이 감소했지만, 영상음향통신(13.5%), 기계장비(5.0%) 등이 증가했다.
수출 출하는 자동차(-7.3%), 금속가공(-8.8%) 감소 등의 여파로 1.2% 감소했다. 전년 동월대비로는 내수 출하가 5.0%, 수출 출하는 1.6% 각각 증가했다.
생산자제품재고는 반도체 및 부품(-6.6%), 화학제품(-2.8%) 등에서 감소했으나, 1차금속(3.2%), 자동차(4.0%) 등이 늘어 전월대비 0.6% 증가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자동차(18.4%), 기계장비(6.3%) 등이 늘어 5.8% 증가했다.
제조업의 재고/출하 비율(재고율)은 120.5%로 전월에 비해 1.8%포인트 상승했다. 경기국면의 변환을 판단할 수 있는 제조업 재고출하순환도를 보면 출하의 증가폭이 확대(0.0%→0.1%)됐으며, 재고의 증가폭도 확대(4.3%→5.5%)된 모습이다.
제조업 가동률지수는 전기장비(8.0%), 기계장비(2.0%)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자동차(-9.4%), 반도체 및 부품(-8.1%) 등에서 줄어 전월대비 2.7% 감소했다.
서비스업생산은 보건·사회복지(1.7%), 부동산·임대(3.1%) 등이 증가했으나, 숙박·음식점(-4.7%), 도소매(-1.2%) 등이 줄어 전월대비 0.4% 감소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보건·사회복지(7.2%), 금융·보험(1.1%) 등이 늘어 1.3% 증가했다.
소매판매액지수는 의복 등 준내구재(2.4%),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0.4%)는 증가했으나, 음식료품, 차량연료 등 비내구재(-7.4%) 판매가 줄어 전월대비 3.2% 감소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0.7% 줄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3.1%)에서 증가했으나 운송장비(-9.0%)에서 투자가 줄어 전월대비 0.3% 감소했다. 전년 동월대비로는 12.3% 증가했다.
건설기성(불변)은 건축 및 토목공사가 줄어 전월대비 3.6% 감소했으나, 전년 동월대비로는 건축공사에서 늘어 6.3% 증가했다.
건설수주(경상)는 항만, 철도, 주택 등에서 감소했으나, 도로·교량 등에서 수주가 늘어 전년 동월 대비 17.6% 증가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1~2월 지수를 함께 보면 경기 개선세는 이어지고 있다"면서 "3월 이후에는 점차 기존의 개선 추이로 복귀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