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올 1월 15일부터 2월 8일까지 청소년 아르바이트 고용 사업장 939곳을 대상으로 실태를 점검한 결과 650곳(69.2%)에서 법 위반 사항 1492건을 적발했다고 30일 밝혔다.
근로조건을 서면으로 명시하지 않은 사업장이 390곳(41.5%)으로 가장 많았다. 임금을 체불한 사업장도 257곳(27.4%)이나 됐다. 최저임금을 지급하지 않은 곳도 104곳(11.1%)이 적발됐다.
위반 업체 중에는 씨유, 세븐일레븐, GS25, 미니스톱 등 4개 편의점과 미스터피자, 도미노피자, 피자헛, 피자에땅 등 4개 패스트푸드점, 이디야커피, 스타벅스, 할리스커피 등 3개 커피전문점 프랜차이즈 업체 686곳이 포함됐다
편의점은 주요 근로조건 위반 비율이 다른 업종보다 높았다. 서면 근로계약 미체결률은 40% 후반대로 상대적으로 높았고, 임금체불은 30%, 최저임금 미달 비율은 약 20% 수준이었다.
패스트푸드점과 커피전문점은 근로조건 위반 비율이 편의점보다는 낮은 수준이었으나 서면근로계약 미체결률은 40%대로 비슷했고, 임금체불은 20%대, 최저임금 위반 비율은 10%대였다.
매장을 직영하는 스타벅스는 프랜차이즈와 달리 최저임금 미달 점포는 없었고, 임금체불 비율은 1.9%에 그쳤다.
고용부는 체불 임금 총 1억5700만원을 지급하도록 조치하는 한편 최근 1년 새 다시 법 위반으로 적발된 사업장 2곳은 사법처리했다.
프랜차이즈 업체 본사에는 주요 근로조건별 위반율 등을 분석해 통보했다.
한편 고용부는 31일부터 퇴직 전문 인력 100명으로 구성된 '청소년 근로조건 지킴이'를 투입해 위반율이 높은 주요 프랜차이즈 업체를 대상으로 점검과 홍보활동을 벌인다.
임무송 고용노동부 근로개선정책관은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청소년들의 근로조건에 관심을 두고 잘 지킬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감독하고 결과를 공표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