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교육부에 따르면 최근 초·중·고교 사회과 교과서(사회·역사·한국사·동아시아사·한국지리·각종 부도)에 포함된 독도 관련 서술 중 수정·보완한 결과 292건에 달했다. 중학교 교과서가 174건으로 가장 많았고, 고교 117건, 초교 1건이었다.
다수 교과서가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이 억지라는 점을 명확히 하지 않고 오해의 소지가 있는 표현을 쓰거나 독도를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라고 하는 등의 오류를 저질렀다.
교육부가 일선 학교에 보낸 ‘교과용 도서 독도 관련 내용 수정·보완 대조표’를 보면 연도, 면적 등과 같은 객관적 사실을 틀리게 적은 것은 물론 일본의 억지주장을 그대로 싣는 등 서술상의 문제도 상당수였다.
또 독도는 분쟁지역이 아니라는 정부 지침에도 독도와 관련된 사안을 ‘독도문제’라고 표현하거나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점을 명확하게 서술하지 않은 교과서도 많았다.
지학사 중학교 사회②도 ‘독도문제’라는 표현을 ‘독도 영유권에 대한 일본의 억지주장’으로 고쳤다.
교학사 고교 동아시아사는 ‘독도는 ∼1948년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이후 지금까지 한국이 지배하고 있다’를 ‘지금까지 한국이 영유하고 있다’로 고치고, ‘최근에 독도가 한국 고유의 영토임을 더욱 명확히 하고 있다’는 문구는 아예 삭제했다.
비상교육 고교 한국사는 ‘일본은 독도를 어떻게 자국의 영토로 편입한 것일까?’를 ‘일본은 독도를 어떻게 자국의 영토로 불법 편입하였을까?’로 수정했다.
앞서 교육부는 고교 한국사 교과서 8종의 독도 관련 서술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자 전문기관에 의뢰해 해당 교과서뿐 아니라 독도 관련 내용이 들어간 초·중·고교 전 과목의 교과서 110여종을 바로잡는 작업에 착수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