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소기업의 부족한 기술인력 부문 해소를 위해 나섰기 때문이다.
31일 중소기업청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2014년 초ㆍ중급 기술개발인력 지원사업'의 신청과 접수를 오는 4월 1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지원사업은 기술개발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위해 인건비와 능력개발를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상시적 기술인력 부족 완화 및 원활한 중소기업 유입을 촉진함과 동시에 지원인력의 역량강화를 위해 2013년 신규사업으로 시행된 바 있다.
실제 지난해 처음 선정된 기업들은 기업의 R&D 역량, 지원인력의 R&D 활용계획 등을 평가하는 세부절차를 거쳐 최종 확정됐으며, 기업별로 최대 2년 동안 평균 2800만원의 정부출연금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343개사(389명) 선정에 835개사(941명)가 신청해 인력기준 대비 경쟁률이 2.41:1에 이르는 등 기술개발인력을 필요로 하는 중소기업의 수요가 많음을 반증했다.
한편 중기청은 올해 기업관계자 및 채용인력들의 의견과 운영상의 보완사항 등을 감안하고 사업구조를 개편해 지원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에 인력 지원대상을 확대(마이스터고 졸업자 추가)하고, 인건비 지원비중(정부지원금 중 73% → 90%)을 높였다. 또 용인력 미취업기간 조건을 완화(기존 3개월 이상 → 1개월 이상)했다.
여기에 수도권과 지방소재 기업의 지원격차를 완화하고 지방소재 기업들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평가시 가점부여 등 사업구조를 개편ㆍ운영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에 참여키 위해서는 기업부설연구소(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소 1개월간의 미취업 상태인 인력을 신청기간 내 채용한 후 연구전담요원으로 등록할 경우 신청할 수 있다.
중기청 관계자는 "최근 정부에서 취업률 제고를 위해 다양한 정책입안과 예산집행을 하고 있으나, 여전히 중소기업 연구인력 취업률은 저조하고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 있는 인재는 부족한 상황"이라며 "이번 사업이 청년층 취업 유도 및 전문가 양성, 나아가 R&D 역량강화를 통해 기업성장의 발판으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