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對칠레 수출입 동향]
아주경제 이규하 기자 =지난 2004년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이후 양국 간 교역이 10년 만에 4.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관세청이 공개한 ‘통계로 보는 한-칠레 FTA 발효 10년’에 따르면 한-칠레 양국 간 교역은 2003년 16억달러에서 2013년 71억달러로 4.5배 늘어났다.
이는 같은 기간 세계 교역 2.9배 증가(1만752억달러) 보다 높고 우리나라와 칠레 교역구조가 유사한 일본(2007년 9월 칠레와 FTA 발효) 보다 높은 수치다.
한-칠레 수출의 경우는 5억달러에서 25억달러로 4.8배 늘었고 수입은 11억달러에서 47억달러로 4.4배 증가했다. 이를 일본-칠레 간 수출입 증가폭(수출 2.5배·수입 2.6배)과 비교하면 크게 상회한 수준이다.
특히 수출은 FTA 발효 전에 한국 5억달러·일본 6억달러로 일본의 칠레 수출 보다 적었으나 2005년부터 칠레 수출을 추월하기 시작했다.
칠레 수출품목수(HS 10단위 기준)도 2003년 670개에서 2013년 1118개로 66.9% 증가했다. FTA 발효이후 수출품목이 다변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수출품목 중에는 기계류(160→ 326), 전기전자(134→ 230), 화학공업(84→ 168) 등의 주요 수출품목 수가 모두 평균보다 높게 증가했고 농림수산물의 수출 품목수도 증가(13→ 43)한 것으로 집계됐다.
10년 동안 수출실적 상위 1위는 자동차가 차지했으며 철강판·시멘트·고무제품 등의 수출도 증가했다. 이를 5대 수출품목으로 분류하면 자동차·석유제품·합성수지·무선통신기기·자동차부품 등의 순위다.
2003년 칠레 수출 비중의 31.3%를 차지하던 자동차의 경우는 2013년 비중이 52%로 상승(12억8000달러)하는 등 우리나라 자동차 칠레 수출은 2003년 18위에서 2013년 8위를 기록했다.
석유제품은 발효 전 수출실적이 없던 제트연료유의 수출이 크게 증가, 발효 전 대비 2.4배 늘었다. 고무제품 수출은 차량용 타이어로 발효 전 보다 4.6배 증가한 4500만달러를 기록했다.
이 밖에도 한국이 칠레에 수출하는 100대 품목 중 칠레 수입시장에서 점유율 1~3위를 차지하는 품목은 총 84개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