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병욱 기자 = 6·4 지방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새누리당 예비후보들이 제시한 정책공약이 후보 간 비방전이나 논란 등에 밀려 유권자의 주목을 받지 못하는 모습이다.
거물급 인사들이 대거 출마하는 등 경선 구도가 ‘인물 중심’, ‘이슈 중심’으로 흘러가는데다가 현재 제시된 공약의 실현 가능성이 비교적 낮기 때문이다.
서울시장 예비후보인 정몽준 의원과 김황식 전 국무총리, 이혜훈 전 최고위원은 31일 일제히 정책공약을 발표했다.
우선 정 의원은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관에서 비전선포 기자회견을 갖고 ‘33한 서울, 88한 경제’를 주제로 총 64개 공약을 발표했다.
공약에는 용산 국제업무지구 사업과 뉴타운 사업 추진, 재개발·재건축 규제 완화, 강북지역 개발 활성화 등이 담겼다.
전날 경선 일정을 재개한 김 전 총리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현행 40년인 재건축 연한을 30년으로 10년 단축하는 내용 등을 골자로 한 정책을 발표했다.
이 전 최고위원은 지하철 내 여성 전용칸 설치를 비롯해 △여성인재뱅크 설립 △국공립 보육시설 2배 확충 △육아 도우미 인증제 도입 등을 담은 ‘여성정책 5대 공약’을 제시했다.
하지만 이 같은 공약들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정 의원과 김 전 총리의 ‘돈 선거’ 논란과 ‘박심(박근혜 대통령 의중)’ 논란, 이 전 최고위원이 정 의원을 돕는 대신 정 의원의 지역구 국회의원직을 물려받는다는 내용의 ‘빅딜설’ 등 각종 정치적 이슈에 매몰된 형국이다.
경기지사 예비후보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남경필·원유철·정병국 의원과 김영선 전 의원 등은 거의 매주 일요일마다 여의도 새누리당사에서 사실상 ‘정견발표회’와 다름없는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있다.
하지만 현장에선 정책에 대한 질문보다는 경기지사 컷오프나 예비후보 단일화 관련 질문, 야권의 무상버스 공약에 대한 의견 등을 묻는 목소리가 더 높았다.
지난 30일 정책발표를 한 남 의원은 이슈에 대한 질문이 빗발치자 “다른 현안도 많이 있지만 오늘은 제가 들고 온 정책에 대해 얘기했으면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정치권 일각에선 정책으로 승부해야 할 지방선거에서 정책이 유권자의 선택 기준으로 작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이광재 사무총장은 아주경제와의 통화에서 “후보들의 정책 제시는 바람직하지만, 아직은 완성도가 떨어지는데다가 본선에서 공약 내용이 바뀔 수도 있다는 점에서 유권자의 관심을 끌지 못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