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서울시가 관리 중인 교량ㆍ고가는 △한강교량 20개 △일반교량 440개 △고가 97개 △입체교차 28개다. 이 가운데 일부 시설의 하부에는 제설 창고, 주차장, 체육시설 등 구청으로부터 허가를 받아 사용되고 있다.
일부에선 교량ㆍ고가 밑에서의 불법영업, 노숙, 공사자재 방치, 불법주차 등으로 화재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는 지적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점용사용으로 인한 도로시설물 손상, 인화성(유류)물건 등 위험성 있는 물건의 사용ㆍ적치 또는 설치, 점용물의 안전한 적치 및 보관 여부 등을 집중 파악한다.
조사는 서울시와 자치구가 관할 시설물별로 각각 벌인다. 긴급조치가 필요한 경우 우선적으로 현장 조치하고, 5~6월 서울시 도로시설물(교량 및 고가) 하부공간 점용허가 기준에 따라 정비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2010년 12월 서울외곽순환 도시고속도로 부천나들목에서 발생한 화재사고를 계기로 '도로시설물 하부 공간 관리계획'을 수립, 예방에 나서고 있다.
정시윤 시 시설안전정책관은 "안전사각지대인 교량ㆍ고가 밑은 관리 소홀시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며 "시민안전과 직결되는 곳을 잘 살펴 시설물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