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검찰, '추징금 환수' 전두환 일가 선산 7월에 공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5-27 14:2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27일 검찰은 전두환(83) 전 대통령이 추징금 대신 내놓은 일가의 선산을 공매에 부치기로 했다.[사진=방송화면 캡처]

아주경제 최수연 기자 = 검찰은 전두환(83) 전 대통령이 추징금 대신 내놓은 일가의 선산을 공매에 부치기로 했다.

서울중앙지검 특별환수팀(팀장 노정환 부장검사)은 경남 합천군 합천읍 율곡면에 있는 선산 69만3천여㎡(21만여평)를 7월 공매에 내놓을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선산은 전 전 대통령의 처남 이창석(63)씨가 대표로 있는 성강문화재단 명의로 돼있다.

전 전 대통령 측은 지난해 9월 선산의 가치가 60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고 미납추징금을 납부하기 위한 책임재산으로 내놓았다.

다만 공시지가와 실거래가는 상당히 낮은 것으로 알려져 토지와 임목 등을 고려한 선산의 전체 가치는 30억원을 약간 상회할 것으로 검찰은 추산했다.

검찰이 선산을 시장에 내놓는 이유는 책임재산 가운데 부동산의 현금화가 비교적 더디기 때문이다.

검찰은 당초 합천 선산과 연희동 사저(80억원), 차남 재용(50)씨가 사는 이태원 준아트빌(20억원) 등은 후순위로 매각하는 방안을 구상했다. 다른 부동산이 예상보다 비싸게 팔리거나 또다른 은닉재산을 찾아내면 굳이 선산이나 일가의 주거지를 팔지 않아도 될 것이라는 계산이었다.

그러나 딸 효선(51)씨 명의의 경기 안양시 관양동 임야(20억원)는 4차례나 유찰됐다.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있어 매각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부동산 중 가장 비싼 오산시 양산동 토지(500억원)는 300억원의 담보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검찰은 다른 부동산도 매각을 서두르고 있다. 검찰은 최근 전 전 대통령의 장남 재국씨가 소유한 경기 연천군 허브빌리지(48필지 및 지상건물) 및 서울 서초동 시공사 사옥·부지(3필지)에 대해서도 매각 공고를 냈다.

시장에 나온 허브빌리지는 5만9천896㎡(1만8천150평) 규모다. 매각주관사인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은 다음달 13일까지 입찰참가 의향서를 받고 16일 공개경쟁 입찰에 부칠 계획이다.

검찰은 전씨 일가가 계산한 250억원에 못 미치더라도 200억원은 넘게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밖에 최근 전 전 대통령 일가는 현금 60억원을 미납추징금으로 추가로 납부했다. 이로써 전 전 대통령의 추징금 2205억원 중 46.3%인 1022억원이 징수됐다.

최근 전 전 대통령 일가는 현금 60억원을 미납추징금으로 추가로 납부했다. 이로써 전 전 대통령의 추징금 2205억원 중 46.3%인 1022억원이 징수됐다.

검찰은 미납추징금을 빠른 시일내에 모두 환수하기 위해 국내외 은닉 재산에 대해서도 계속 추적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 지난달 미 법무부는 차남 재용씨가 캘리포니아주 뉴포트비치에 소유한 주택의 매각대금 72만1951달러에 대해 몰수신청을 했다. 이 주택은 210만 달러에 매매됐으며 법무부는 이 가운데 72만7000달러를 압류한 상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