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국회입법조사처가 김한표 새누리당 의원에게 제출한 '산업체 사망사고 현황'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산업재해 사망자 500명 중 근로자 수 300인 미만의 사업장 소속은 402명(80.4%)에 달했다.
300인 이상의 사업장에 속한 사망자는 98명(19.6%)이었고 이 중 1000명 이상이 일하는 대형 사업장 소속 사망자는 31명(6.2%)에 그쳤다. 즉 대형사업장일수록 안전관리가 철저한 반면 중소기업의 안전 의식은 크게 낮다는 것이다.
중소 사업장에 산재 사망이 몰리는 현상은 수년째 지속되고 있다. 지난해 1929명의 산재 사망자 중 1578명(81.8%)이 300인 미만의 사업장에서 나왔으며, 2012년에도 1864명 중 1587명(85.1%)이, 2011년에는 1860명 중 1542명(82.9%)이 300인 미만 사업장 소속이었다.
산재 사망의 원인은 절반 가까이가 작업 현장에서의 안전사고였다. 사망자 500명 중 추락사(95명)나 절단·끼임 등에 의한 사망(28명), 충돌사(23명) 등 사업장 내에서 안전사고로 숨진 경우는 249명(49.8%)으로 집계됐다.
업종별 사망자는 건설업이 139명(27.8%)으로 가장 많았고 제조업(119명, 23.8%), 광업(95명, 19.0%), 운수·창고 및 통신업(34명. 6.8%) 등이 뒤를 이었다.
소규모 업체일수록 안전에 투자할 여력이 부족해 재해 위험이 높은 것이 현실이다. 정부는 안전관리사를 사내에 별도로 두지 못한 소규모 사업장에 안전 컨설팅을 제공하는 등 중소기업의 안전 문제에 관심을 높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