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6·10 민주항쟁 27주년을 맞은 10일 야당이 정부주관 기념식에 불참하면서 여야의 역사 갈등이 재연됐다. 야당이 정부주도 기념식에 불참하는 것은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이어 두 번째다.
6·10 민주항쟁의 정부주관 기념식은 이날 오전 서울시청에서 강병규 안전행정부 장관과 박상증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주호영 새누리당 정책위의장 등 정부여당 관계자들만 참석한 가운데 치러졌다. 사실상 반쪽짜리 행사로 전락한 셈이다.
대신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 등 당 지도부는 같은 날 경기도 남양주시 마석 모란공원에서 별도로 6·10 민주항쟁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는 친박(친박근혜) 인사인 박상증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의 인선에 대한 반발 차원으로 풀이된다.
새누리당 내부적으로는 연거푸 정부주관 행사에 불참한 야당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이날 “세대와 지역, 이념 갈등을 넘어서자”고 말했다.
새누리당 박대출 대변인은 6·10 민주항쟁과 관련해 “자유민주주의를 위해 모두가 한 목소리를 내던 그 날을 기억한다”며 “이제 우리는 6·10 민주항쟁의 열기와 교훈을 이어받아 모든 국민이 하나 되는 대한민국을 새로이 가꿔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우리 사회의 수평, 수직적 갈등을 극복하는 일이야말로 진정한 민주주의의 완성이자 국가대개조를 위한 의미 있는 첫 걸음”이라고 전한 뒤 “새누리당은 민주영령들이 피와 눈물로 이뤄낸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이날 별도의 행사를 연 김 대표는 “27년 전 오늘, 광장에 함께 한 모든 분들의 희생과 헌신을 잊지 않겠다”고 말한 뒤 “6·10 항쟁 27주년을 맞아 오늘 우리는 민주열사들이 일궈낸 이 땅의 민의를 다시 바로 세워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가정보원의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유출 △서울시 간첩증거 조작사건 등을 열거하면서 “오늘의 민주주의가 다시 후퇴하고 있다”며 “대통령이 주권자인 국민과 소통하기보다 불통의 1인통치 시대로 퇴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박 이사장의 임명과 ‘임을 위한 행진곡’의 5·18 공식 지정곡 무산 등을 언급하며 “박근혜 정부는 5·18, 6·10 민주항쟁 무력화시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6·10 민주항쟁의 정부주관 기념식은 이날 오전 서울시청에서 강병규 안전행정부 장관과 박상증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주호영 새누리당 정책위의장 등 정부여당 관계자들만 참석한 가운데 치러졌다. 사실상 반쪽짜리 행사로 전락한 셈이다.
대신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 등 당 지도부는 같은 날 경기도 남양주시 마석 모란공원에서 별도로 6·10 민주항쟁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는 친박(친박근혜) 인사인 박상증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의 인선에 대한 반발 차원으로 풀이된다.
새누리당 박대출 대변인은 6·10 민주항쟁과 관련해 “자유민주주의를 위해 모두가 한 목소리를 내던 그 날을 기억한다”며 “이제 우리는 6·10 민주항쟁의 열기와 교훈을 이어받아 모든 국민이 하나 되는 대한민국을 새로이 가꿔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우리 사회의 수평, 수직적 갈등을 극복하는 일이야말로 진정한 민주주의의 완성이자 국가대개조를 위한 의미 있는 첫 걸음”이라고 전한 뒤 “새누리당은 민주영령들이 피와 눈물로 이뤄낸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이날 별도의 행사를 연 김 대표는 “27년 전 오늘, 광장에 함께 한 모든 분들의 희생과 헌신을 잊지 않겠다”고 말한 뒤 “6·10 항쟁 27주년을 맞아 오늘 우리는 민주열사들이 일궈낸 이 땅의 민의를 다시 바로 세워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가정보원의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유출 △서울시 간첩증거 조작사건 등을 열거하면서 “오늘의 민주주의가 다시 후퇴하고 있다”며 “대통령이 주권자인 국민과 소통하기보다 불통의 1인통치 시대로 퇴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박 이사장의 임명과 ‘임을 위한 행진곡’의 5·18 공식 지정곡 무산 등을 언급하며 “박근혜 정부는 5·18, 6·10 민주항쟁 무력화시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