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13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는 서울시민이 느끼는 삶의 질, 계층 구조 및 시민의식, 사회적 신뢰 및 공동체 의식, 주요 생활상 등 217개 지표(12개 분야, 42개 영역)에 대한 시민의견을 서울의 변화와 사회·생활상을 파악해 정리한 것이다.
조사에 따르면 서울의 가구소득 분표는 △300만~400만 원 25.1% △200만~300만 원 19.7% △500만 원 이상이 19.4%로 나타났다.
직업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40대 이하는 관리전문직과 화이트칼라 비중이 높고 △50대 이상은 블루칼라 비중이 각각 높게 나타났다.
10가구 중 1가구가 이혼·별거 상태로, 상대적으로 학력과 소득이 낮은 가구일수록 이혼·별거 상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50대의 이혼 별거 비율은 13.2%로 가구주 전체 평균보다 높았다.
가구부채비율은 전년 대비 3.0% 포인트 하락한 47.9%로 절반은 부채를 안고 있으며, 부채 이유로는 주택 임차 및 구입이 56.0%로 가장 높았으나 2009년 대비 15.3% 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교육비, 생활비. 의료비로 인한 부채가 2009년 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환경 만족도를 살펴보면 공교육환경 만족도(5.74점)가 사교육환경 만족도(4.83점)보다 높게 나타났고, 서북권의 공교육 만족도와 동남권의 사교육 만족도가 타 권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특히 2006년 이후 개인적으로 느끼는 주관적 만족도는 모든 분야에서 상승하는 추세였다. 건강상태(71.5점), 가정생활(70.3점), 주위 친지·친구관계(69.5점), 사회생활(69.4점), 재정상태(62.3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당신은 얼마나 행복하십니까?'라는 질문에 서울시민은 72.2점을 나타냈다. 연령이 낮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행복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미혼 74.5점, 기혼 72.7점, 이혼·별거 65.0점, 사별 61.5점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민 10명 중 6명(59.4%)이 '지난 2주일 동안 스트레스를 느꼈다'고 응답했으며 이 가운데 10대와 40대의 스트레스 비율이 높았다.
서울시민 62.7%가 보험(66.0%)·공적연금(57.5%)·저축(55.0%)·개인연금(26.6%) 등을 통해 노후 준비를 하고 있었다.
2013년 말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서울의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는 146만 명(14.4%)을 차지했다. 2010년부터 시작된 대규모 은퇴로 인구구조 변화, 경제활동 변화에 따른 정책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32.4%가 500만 원 이상의 고소득자로 나타났고 이혼·별거 상태의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류경기 서울시 행정국장은 "서울서베이 결과에 나타난 서울시민들의 생활상을 분석해 시정운영과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이라면서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한 과학적 시정운영의 기반을 확립해 서울이 준비해 나가야 할 미래를 예측·대비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2013년 10월 한 달간 서울시내 2만 가구(15세 이상 4만7384명) 및 거주외국인 2500명, 사업체 5500개를 대상으로 방문면접을 실시해 이뤄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