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美 식품가 급등, 소고기 10%· 돼지 13%↑… "연준 뭐하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7-07 15:2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이규진 기자 = 미국 식품가격이 급등하지만 정작 연방준비제도는 안일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적했다. 최근 미국의 식품 가격이 치솟으면서 해외 뿐만 아니라 장기간 인플레이션 트렌드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지난 5월 미국의 소고기 가격은 전년대비 10.4%나 올랐다. 돼지고기 가격은 12.7%, 과일은 7.3% 증가했다. 특히 오렌지 가격은 무려 17.1%나 급등했다. 다만 시리얼과 빵 등은 0.1% 오르고 야채 가격도 0.5% 증가하는데 그쳤다. 실제로 일반 슈퍼마켓에서 식품 코너에 가격이 높은 제품들이 즐비해있다고 저널은 전했다. 미국 농무부는 올해 전체 식품가격이 2.5%에서 3.5%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에는 소비자 식품가격이 1.4% 증가했다. 

식품가격이 오르면서 음식점 비용도 증가했다. 지난 5월 코스요리 가격이 전년대비 2.2% 상승했다. 식료품 비용은 지난해 1%보다 적게 증가한 이후 지난 6월엔 2.7% 늘어났다.

이러한 식품가격의 상승은 예기치 못한 악재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오클라호마와 텍사스의 가뭄이 소 가격을 올린 것이다. 돼지 유행성 설사증 바이러스가 확산되면서 수백마리의 돼지가 떼죽음을 맞은 것도 식품가 상승을 부추겼다. 플로리다에서 감귤녹화병이 퍼지면서 오렌지 등 과일 상품 피해가 커졌다. 동남아시아에서 온 미국 새우 대부분에 박테리아 세균이 퍼져 충격을 주기도 했다. 커피 가격도 브라질의 극심한 가뭄으로 올랐다.

미국 경제는 강하게 회복하면서 연준의 인플레율 목표치인 2%에 근접해지고 실업률도 1년 만에 7.5%에서 6.1%로 크게 하락했다. 고용시장은 안정화되고 경기과열 우려가 커지면서 금리를 인상할 때가 됐다는 주장이 확산됐다. 이러한 가운데 식품가격의 상승은 연준을 압박시키는 요인이 된다고 저널은 전했다. 연준은 그동안 유지한 초저금리 기조를 바꿔 금리를 인상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이 금리 인상이 최상의 정책이 아니라며 시간을 둘 것이라고 시사했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