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7/07/20140707152858925420.jpg)
[사진=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이규진 기자 = 미국 식품가격이 급등하지만 정작 연방준비제도는 안일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적했다. 최근 미국의 식품 가격이 치솟으면서 해외 뿐만 아니라 장기간 인플레이션 트렌드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지난 5월 미국의 소고기 가격은 전년대비 10.4%나 올랐다. 돼지고기 가격은 12.7%, 과일은 7.3% 증가했다. 특히 오렌지 가격은 무려 17.1%나 급등했다. 다만 시리얼과 빵 등은 0.1% 오르고 야채 가격도 0.5% 증가하는데 그쳤다. 실제로 일반 슈퍼마켓에서 식품 코너에 가격이 높은 제품들이 즐비해있다고 저널은 전했다. 미국 농무부는 올해 전체 식품가격이 2.5%에서 3.5%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에는 소비자 식품가격이 1.4% 증가했다.
식품가격이 오르면서 음식점 비용도 증가했다. 지난 5월 코스요리 가격이 전년대비 2.2% 상승했다. 식료품 비용은 지난해 1%보다 적게 증가한 이후 지난 6월엔 2.7% 늘어났다.
미국 경제는 강하게 회복하면서 연준의 인플레율 목표치인 2%에 근접해지고 실업률도 1년 만에 7.5%에서 6.1%로 크게 하락했다. 고용시장은 안정화되고 경기과열 우려가 커지면서 금리를 인상할 때가 됐다는 주장이 확산됐다. 이러한 가운데 식품가격의 상승은 연준을 압박시키는 요인이 된다고 저널은 전했다. 연준은 그동안 유지한 초저금리 기조를 바꿔 금리를 인상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이 금리 인상이 최상의 정책이 아니라며 시간을 둘 것이라고 시사했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