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각국과 다방면의 경제협력 사업을 추진해 우리 기업들이 참여할 공간을 넓히고, 자유무역협정(FTA) 등을 교두보로 삼아 수출을 진흥시키겠다는 복안이다.
정부는 우선 국내 기업들이 신흥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지름길을 마련해 주는데 정책적 초점을 뒀다. 경쟁이 심화한 선진국 시장보다 블루오션으로 또오르는 신흥 시장을 국내 기업들이 적극 공략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정부는 특히 지난 6월 박근혜 대통령이 방문했던 중앙아시아를 비롯한 유라시아 시장의 성장성에 주목했다.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는 유라시아를 하나의 경제권으로 묶어 미래의 '경제영토'를 확장하고 한반도 평화기반을 구축하겠다는 박 대통령의 대외 구상이다.
로드맵에는 교통과 물류, 에너지, IT 등 유망한 사업 분야별로 국내 기업들의 현지 진출을 돕기 위한 방안들이 담길 예정이다. 인프라 건설이나 에너지 개발, IT 기반 구축 등은 신흥국의 발주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현지 정부의 예산 여력이 많지 않을 가능성도 높다.
이를 감안해 정부는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이나 수출금융 등을 활용해 현지에서 발주될 프로젝트의 자금 숨통을 터줄 계획이다. 우리 기업들이 참여하기 용이한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판단에서다.
자금 지원과 더불어 한국의 경제발전 경험을 개도국에 전파하는 협력사업인 '경제개발경험공유(KSP)' 사업과 정부간 고위급 협의체 운영도 병행해 다수의 내실 있는 경제협력 사업들을 끌어낼 계획이다.
또 새 경제팀은 국내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FTA를 통한 수출 대상국의 무역장벽 해소를 지목했다. 특히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과의 FTA 연태 타결을 목표로 국내 주력 수출품에 대한 관세 장벽을 조기에 철폐하고, 대중 수출을 끌어올리겠다는 복안이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국내 기업들이 중국 내수 시장 진출을 돕기 위한 종합적인대책도 오는 9월까지 마련한다. 가공무역이 많던 대중 수출 구조를 바꿔 현지 소비재 시장을 적극 공략할 수 있도록 마케팅 등 사업 전분야를 지원하는 방안이 담길 예정이다.
아울러 정부는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등 수출 전략국과의 FTA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등 지역 경제통합 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우리 기업들이 미국이나 유럽 등지를 대상으로 이미 발효한 FTA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업종별 FTA 활용 교육을 시행하겠다는 계획도 새 경제팀의 정책계획안에 포함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