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용차요일제’는 월~금요일 5일 중 시민 스스로 하루를 정해 차량을 운행하지 않는 방식이다. 2014년 6월 기준으로 서울시내 등록차량 237만 대 중 33%인 79만 대가 가입돼 있다. 하지만 일부 가입자가 혜택만 보고 요일제 인식 전자태그를 떼거나 운휴일을 위반하는 사례가 발생해왔다.
이에 시는 서울시내에 전자태그 리더기 19개소를 설치해 단속을 강화하고 3회 이상 적발차량은 혜택을 중지시켰다.
시는 이번에 서울연구원 학술용역과 전문가 간담회, 시민공청회 등을 통해 승용차 요일제 재설계에 나선다. 주요 개선사항으로는 △자동차세 5% 감면 보상(인센티브) 폐지 △전자태그 5년마다 갱신 적용 등이다.
아울러 시는 평상시 승용차의 주행거리를 줄이면 인센티브를 주는 ‘드라이빙 마일리지제’를 도입해 오는 9월부터 시범운영에 들어간다.
기존 승용차요일제는 일주일 중 하루 전체를 운영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어 드라이빙 마일리지제를 통해 탄력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시는 시민들이 승용차요일제와 마일리지제 중 본인 편의에 따라 선택하거나 둘 다 참여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시는 마일리지제 공동운영을 위해 현대하이카다이렉트, MG손해보험, 한화손해보험 등 3개 보험사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희망시민 5만 명을 모집해 시범운영한다고 28일 밝혔다.
구체적인 인센티브는 현재 시가 세부사항을 조율 중에 있다.
강희은 서울시 친환경교통과장은 “서울시는 현행 승용차요일제는 보완해 지속적으로 더욱 발전시켜 나가는 한편 ‘드라이빙 마일리지제’를 새롭게 도입해 도심 교통량을 감축하고 에너지 절약과 대기질 개선 효과를 동시에 추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2014년 6월 19일 서울시청 본관 3층에서 승용차요일제 재설계를 위한 공청회를 진행 중이다. [사진 제공 = 서울시]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