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러시아가 미국과 유럽연합(EU)의 경제제재 조치에 농산물과 식품 ‘수입금지 조치’라는 반격 카드를 꺼내들면서 이번 조치의 영향권에 놓인 서방의 농식품 관련 기업들에 비상이 걸렸다. 이에 유럽국가들은 러시아의 보복조치에 따른 타격이 예상되는 농가 피해 최소화를 위해 긴급 지원에 나섰다.
8일(현지시간)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러시아의 서방식품 수입금지 조치로 타격이 예상되는 피해 농가를 지원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회원국 피해 농가에 대한 피해보상 조치 등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다음 주 내놓겠다"고 밝혔다.
카렐 데 휘흐트 EU 통상담당 집행위원은 피해 농가 지원계획과 관련해 4억 유로(약 5600억 원) 규모의 기금을 마련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EU는 러시아의 수입금지 조치로 118억 유로 규모의 대(對)러시아 수출통로가 막힐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전체 수출 가운데 러시아 식품수출 비중이 0.7%에 불과해 러시아의 금수조치가 유럽경제에 미칠 영향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러시아에 농산물을 수출하는 유럽 농가 등 관련 업종 대한 타격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유럽 농산물의 대 러시아 수출량이 전체의 13%를 차지하는 만큼 농산물 가격 하락은 디플레이션 발생 가능성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다. 현재 유로존 물가상승률은 0.4% 수준으로 10개월째 1%를 밑돌고 있어 농산물 물가 하락은 디플레이션 발생의 도화선이 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유럽과 러시아의 무역분쟁이 가열되면서 유럽 국가 중에서도 특히 핀란드와 노르웨이, 리투아니아가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핀란드는 전체 교역에서 차지하는 대 러시아 수출입 비중은 14%에 이른다. 러시아에 약 30만t(8억 유로 상당)의 수산물을 판매해온 노르웨이도 대체 시장을 모색해야 할 형편에 처했다. 리투아니아의 경우 이번 러시아 금수조치에 따른 수출 감소액은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2.5%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사과 생산량의 절반가량을 러시아에 수출하고 있는 폴란드의 경우도 농가 피해가 클 것으로 우려된다.
이처럼 유럽으로부터의 수입통로를 막은 러시아는 대안으로 중남미 국가들에서 수입통로를 찾고 있다.
앞서 러시아 정부는 자국 내 농산물 수입통로를 미국과 유럽에서 브라질, 에콰도르, 칠레, 아르헨티나, 멕시코 등 중남미 국가와 터키 등으로 전향할 의사를 밝힌 바 있다.
멕시코 농림부의 브랑카 파라폭스 대변인은 "러시아 검역 당국인 연방 수의식물위생감시국과 육류 수입을 논의 중"이라고 9일 밝혔다.
칠레 외교부의 안드레스 레볼레도 대외통상교섭대표 또한 "러시아 정부는 여러 중남미 국가들과 모임을 가졌으며 각국에 더 많은 식품 공급업자가 교역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는지 물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터키 수출업협회 메흐메트 뷰육에크시 회장은 러시아의 제재가 터키 수출업체들에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과일, 계란, 가금류 부문에서 수혜를 입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유럽국가들은 이 같은 러시아의 보복조치를 비난하며 유럽 농가의 타격만큼 러시아도 장기적으로 피해를 입게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국 백악관은 “러시아의 이 같은 조치가 자국 경제에 스스로 타격을 입히고 국제사회로부터의 고립을 심화하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여러 외신들 또한 러시아의 식품 수입금지 조치가 실행되면 유럽과 미국의 농가나 식품 수출업자에 큰 타격을 주는 동시에, 러시아에서는 인플레율이 더욱 높아지고 일부 식품 부족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핀란드는 전체 교역에서 차지하는 대 러시아 수출입 비중은 14%에 이른다. 러시아에 약 30만t(8억 유로 상당)의 수산물을 판매해온 노르웨이도 대체 시장을 모색해야 할 형편에 처했다. 리투아니아의 경우 이번 러시아 금수조치에 따른 수출 감소액은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2.5%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사과 생산량의 절반가량을 러시아에 수출하고 있는 폴란드의 경우도 농가 피해가 클 것으로 우려된다.
이처럼 유럽으로부터의 수입통로를 막은 러시아는 대안으로 중남미 국가들에서 수입통로를 찾고 있다.
앞서 러시아 정부는 자국 내 농산물 수입통로를 미국과 유럽에서 브라질, 에콰도르, 칠레, 아르헨티나, 멕시코 등 중남미 국가와 터키 등으로 전향할 의사를 밝힌 바 있다.
멕시코 농림부의 브랑카 파라폭스 대변인은 "러시아 검역 당국인 연방 수의식물위생감시국과 육류 수입을 논의 중"이라고 9일 밝혔다.
칠레 외교부의 안드레스 레볼레도 대외통상교섭대표 또한 "러시아 정부는 여러 중남미 국가들과 모임을 가졌으며 각국에 더 많은 식품 공급업자가 교역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는지 물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터키 수출업협회 메흐메트 뷰육에크시 회장은 러시아의 제재가 터키 수출업체들에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과일, 계란, 가금류 부문에서 수혜를 입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유럽국가들은 이 같은 러시아의 보복조치를 비난하며 유럽 농가의 타격만큼 러시아도 장기적으로 피해를 입게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국 백악관은 “러시아의 이 같은 조치가 자국 경제에 스스로 타격을 입히고 국제사회로부터의 고립을 심화하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여러 외신들 또한 러시아의 식품 수입금지 조치가 실행되면 유럽과 미국의 농가나 식품 수출업자에 큰 타격을 주는 동시에, 러시아에서는 인플레율이 더욱 높아지고 일부 식품 부족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