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경기개발연구원 문미성 창조경제연구실장은 '경기도 창조경제, 게임산업에서 길을 찾다' 연구보고서에서,국내 상장게임산업 매출의 84.7%, 수출의 70.6%를 경기도가 점유(2013년 기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이어 문 실장은 게임산업이 경기도 창조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설명하고,게임산업을 통해창조경제 확산 전략을 제안했다.
게임산업은 한국이 민간주도로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한 거의 유일한 지식서비스산업으로 세계 게임시장의 6.3%를 차지한다. 특히 온라인게임 시장에서는 28.6%를 점유해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이다.
게임산업 종사자 수는 2009년부터 4년간 연평균 21.0% 증가해 전 산업 평균 증가율(3.1%)보다 약 7배 높은 수준이다.
고용의 33.8%가 20대, 51.4%가 40대로 대부분이 청년층이며 60.1%가 대졸 이상의 젊은 고학력자로 전문직 일자리 창출 기여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지난해 경기도 게임산업은 국내 상장게임기업 전체 매출의 84.7%, 수출의 70.6%를 점유해 서울보다 월등히 앞섰다.
판교테크노밸리에는 매출 상위 10대 게임기업 중 7개 기업이,상위 5대 기업이 모두 입주해 22.7조 원의 매출과 6124억 원의 수출을 달성했다.
한국 게임산업의 성공요인으로 ▲우수한 젊은 인재 중심의 학습커뮤니티 형성과 개방적 지식생태계 발전 ▲초고속인터넷, PC방 등을 활용한 부분유료화 ▲소액결제 등 혁신적 비즈니스모델 창출 ▲정부의 정책개입 최소화로 시장주도형 비즈니스 생태계 형성을 꼽았다.
게임산업의 성공은 특히 △SW,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으로 비즈니스 확산 △선도적 게임기업들의 창조인력 및 기업의 사관학교 역할 수행 △게임산업 창조경제 유전자의 타분야 복제 △문화적 자신감 확보 등 창조경제 발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평가된다.
문미성 실장은 “세계 게임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시장 타깃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며 "수출 대상국 다변화, 중국 업체와의 경쟁 해결, 개발 초기 글로벌 전략을 통한 시장 주도권 확보가 당면한 과제"라고 주장했다.
이에 "자율적 규제로 전환해 지속가능한 성장구조를 창출하는 한편, 판교테크노밸리에 게임의 거리와 e-스포츠 스타디움 등 한국 게임산업 글로벌 도약의 플랫폼 및 공간을 제공하고 제2판교테크노밸리 조성으로 게임산업을 중심으로 한 창조경제 확산할 것"을 제안했다.
게임산업은 한국이 민간주도로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한 거의 유일한 지식서비스산업으로 세계 게임시장의 6.3%를 차지한다. 특히 온라인게임 시장에서는 28.6%를 점유해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이다.
게임산업 종사자 수는 2009년부터 4년간 연평균 21.0% 증가해 전 산업 평균 증가율(3.1%)보다 약 7배 높은 수준이다.
특히 지난해 경기도 게임산업은 국내 상장게임기업 전체 매출의 84.7%, 수출의 70.6%를 점유해 서울보다 월등히 앞섰다.
판교테크노밸리에는 매출 상위 10대 게임기업 중 7개 기업이,상위 5대 기업이 모두 입주해 22.7조 원의 매출과 6124억 원의 수출을 달성했다.
한국 게임산업의 성공요인으로 ▲우수한 젊은 인재 중심의 학습커뮤니티 형성과 개방적 지식생태계 발전 ▲초고속인터넷, PC방 등을 활용한 부분유료화 ▲소액결제 등 혁신적 비즈니스모델 창출 ▲정부의 정책개입 최소화로 시장주도형 비즈니스 생태계 형성을 꼽았다.
게임산업의 성공은 특히 △SW,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으로 비즈니스 확산 △선도적 게임기업들의 창조인력 및 기업의 사관학교 역할 수행 △게임산업 창조경제 유전자의 타분야 복제 △문화적 자신감 확보 등 창조경제 발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평가된다.
문미성 실장은 “세계 게임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시장 타깃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며 "수출 대상국 다변화, 중국 업체와의 경쟁 해결, 개발 초기 글로벌 전략을 통한 시장 주도권 확보가 당면한 과제"라고 주장했다.
이에 "자율적 규제로 전환해 지속가능한 성장구조를 창출하는 한편, 판교테크노밸리에 게임의 거리와 e-스포츠 스타디움 등 한국 게임산업 글로벌 도약의 플랫폼 및 공간을 제공하고 제2판교테크노밸리 조성으로 게임산업을 중심으로 한 창조경제 확산할 것"을 제안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