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국민의 아이디어를 사업화하는 창조경제타운이 온·오프라인 종합 창업지원 플랫폼으로 거듭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8일 서울 광화문 드림엔터에서 '창조경제타운-창업지원기관 협의체' 발대식을 했다.
협의체는 창조경제타운과 19개 창업지원기관 간 협력 네트워크다. 이에 따라 창조경제타운은 온라인 플랫폼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오프라인에서도 창업 지원 활동을 본격화할 수 있게 됐다.
협의체는 정기적으로 회의를 열어 창업 지원 현황·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공동 창업 지원 프로그램 개발에도 나설 계획이다.
이달 말로 서비스 개시 1주년을 맞은 창조경제타운은 8월 말 현재 90만명 이상이 방문하는 등 대표적인 국민 아이디어 창구로 역할을 하고 있다.
창조경제타운을 통해 제안된 블루투스 이어폰 '이어톡'이 12억5000만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일부 성과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오프라인 창업지원기관과 연계돼 지원을 받는 아이디어는 51건에 그쳐 창조경제타운이 온라인 중심에서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통합 플랫폼이 돼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다양한 지식·경험·아이디어를 가진 주체들의 활발한 교류·협업을 통해 창조경제 성과 창출에 속도가 붙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8일 서울 광화문 드림엔터에서 '창조경제타운-창업지원기관 협의체' 발대식을 했다.
협의체는 창조경제타운과 19개 창업지원기관 간 협력 네트워크다. 이에 따라 창조경제타운은 온라인 플랫폼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오프라인에서도 창업 지원 활동을 본격화할 수 있게 됐다.
협의체는 정기적으로 회의를 열어 창업 지원 현황·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공동 창업 지원 프로그램 개발에도 나설 계획이다.
창조경제타운을 통해 제안된 블루투스 이어폰 '이어톡'이 12억5000만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일부 성과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오프라인 창업지원기관과 연계돼 지원을 받는 아이디어는 51건에 그쳐 창조경제타운이 온라인 중심에서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통합 플랫폼이 돼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다양한 지식·경험·아이디어를 가진 주체들의 활발한 교류·협업을 통해 창조경제 성과 창출에 속도가 붙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