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우주위험과 관련한 정부의 청사진이 30일 구체화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9일 관계 부처와 합동으로 제18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열어 제1차 위성정보활용 종합계획(14∼19) 및 제1차 우주위험대비 기본계획(14∼23)의 2014년도 시행계획안을 수립했다고 이날 밝혔다.
정부는 우선 위성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하고자 내년 중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정보연구소를 확대·개편,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를 설립하기로 했다.
국민 누구나 원하는 위성정보를 손쉽게 검색하고 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위성정보 통합플랫폼' 1단계 사업도 올해 중으로 추진된다.
통합플랫폼의 정보전략계획(ISP) 수립과 위성정보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제작 활성화가 1단계 사업의 핵심이다.
위성정보를 활용해 해양·농업·환경·재난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모니터링하고 미래 예측 기술을 개발하는 '골든 솔루션 프로젝트'도 내년 중 본격화한다.
우주위험 대비와 관련해서는 총괄조정기구인 '우주위험대책본부'와 본부 사무국 격인 '우주위험대책반', 우주위험을 24시간 감시하고 분석하는 '우주환경감시기관'을 각각 설립·운영하기로 했다.
독자적 대응체계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국제우주잔해물조정위원회 등 다자협의체 가입도 추진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9일 관계 부처와 합동으로 제18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열어 제1차 위성정보활용 종합계획(14∼19) 및 제1차 우주위험대비 기본계획(14∼23)의 2014년도 시행계획안을 수립했다고 이날 밝혔다.
정부는 우선 위성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하고자 내년 중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정보연구소를 확대·개편,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를 설립하기로 했다.
국민 누구나 원하는 위성정보를 손쉽게 검색하고 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위성정보 통합플랫폼' 1단계 사업도 올해 중으로 추진된다.
위성정보를 활용해 해양·농업·환경·재난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모니터링하고 미래 예측 기술을 개발하는 '골든 솔루션 프로젝트'도 내년 중 본격화한다.
우주위험 대비와 관련해서는 총괄조정기구인 '우주위험대책본부'와 본부 사무국 격인 '우주위험대책반', 우주위험을 24시간 감시하고 분석하는 '우주환경감시기관'을 각각 설립·운영하기로 했다.
독자적 대응체계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국제우주잔해물조정위원회 등 다자협의체 가입도 추진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