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변호사는 긍정적 요인으로 경제제재에 참여한 미국과 EU 등 서방국가에 대한 러시아의 보복성 금수조치(Counter-Sanctions)를 꼽았다. 서방 국가로부터 자동차, 식료품과 공산품에 대한 수입이 막히면서 수입 대체국으로 한국, 중국, 남미에 관심을 돌리고 있다는 것이다.
러시아가 유럽 위주의 에너지 수출정책에서 탈피하기 위해 수출시장 다변화를 추진하면서 2035년까지 아태지역 수출비중을 석유는 현재 수준의 2배, 천연가스는 5배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에너지 수입단가 하락으로 이어져 에너지 관련 국내 기업들에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서방의 경제제재 이후 푸틴 정부의 외교정책이 아시아 중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우리와의 경제협력이 강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러시아는 극동, 시베리아를 우선개발지역으로 지정하고 외국인투자여건 개선에 나서고 있어 우리기업들의 극동지역 진출 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리 기업의 현지 원부자재 조달이 어려울 전망이다. 러시아 측 거래선들은 물가상승으로 가격조정을 요구하거나 거래물량을 줄이고 있어 원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전경련은 오는 28일에는 무역협회와 공동으로 러시아 하바롭스크에서 한·러 양국 기업인 100여명이 참석하는 제7차 한-러 비즈니스 다이얼로그를 개최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