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동욱 기자= 정부가 지난번 베이징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합동각료회의 때 우리 정부의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과 역내 연계성 증진 노력을 소개하면서 중국에 남·북·중 외교장관 회담 개최를 선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새로운 외교 지형으로 재편되는 동북아에서 한반도 주변국과의 소(小)다자 협력 활성화를 통해 우위를 점한다는 우리 정부의 외교 전략으로 풀이된다.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23일 "지난 7일 중국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 회담에서 (우리 측이) 중국에 남·북·중 외교장관 회담을 한번 해보자고 했다"면서 "지금 당장은 북·중 관계도 어렵고 여러 가지 요소가 있으니 조기에 하기는 어렵겠지만 남·북·중 외교장관 회담이 되면 여러 가지 좋은 사업이 검토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양자 외교도 중요하지만 소(小)다자도 중요하다"면서 "다양한 3자(협의)가 굴러가면 이것이 동북아 평화협력구상과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강화하게 된다. 큰 원과 작은 원이 상호 추동해서 서로 보완하는 어프로치를 우리가 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한·중·일 정상회담 문제와 관련, "(대부분은) 일본이 장애물이라고 생각하는데 일본은 이것을 원했다. 중·일관계가 안 좋은데 한·중·일이 만나면 중·일 접촉도 이뤄지기 때문"이라면서 "사실 가장 큰 애로는 중국으로, 중국이 가능할까 했는데 외교장관 회담까지는 중국이 긍정적인 것을 알게 됐고 그래서 아세안+3 회의에서 한·중·일 정상회담을 제안하게 된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에 이뤄진 중·일 정상 간 만남에 대해서는 "정상회담 분위기나 의전 형태, 대화 내용을 보면 이것은 다자 회담이기 때문에 가능했던 양자회담이라는 생각"이라면서 "(중·일 양국이 정상회담 직전 발표한 센카쿠 문제 등에 대한) 4개항 합의를 보면 해석차가 있다. 합의 이후의 상황에 대해서 굉장히 중국 측이 화가 나 있다. 이번 합의도 중국 입장에서는 굉장히 강하게 푸시했다(밀었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한편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연내 한·영 장관급 전략대화, 한·중동포럼 참석 및 중동 국가 방문 일정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이 당국자는 전했다.
윤 장관은 내년에는 다보스포럼, 한·독 외교장관 회담 및 뮌헨 안보회의, 서울 믹타(MIKTA) 외교장관회의, 네덜란드 사이버스페이스 총회 등의 일정을 갖는다.
이에 대해 익명을 요구한 외교가의 한 관계자는 아주경제와의 통화에서 "동북아 외교지형의 새판짜기가 가시화되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가 판을 흔들고 이니셔티브를 쥘 수 있는 긍정적인 면이 있다고 본다"면서 "만약에 중국이 적극 주선을 한다면 인권문제 등으로 국제적으로 더욱 궁지에 몰린 북한이 회담에 나설 여지도 있어 보인다"고 내다봤다.
이 전문가는 "요즘 동북아 지역의 이합집산이 각개전투 형식으로 움직인다"면서 "예전에는 서로 팀을 맞춘다면 예측 가능한 형태였는데, 일본이 북한과 교섭에 나서고 중국과 정상회담을 하듯이 어떻게 보면 한국을 포위하는 형국"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 정부로서도 지금까지의 원칙을 고수하며 전통적인 우방을 믿고 서 있기보다 적극적으로 움직이면서 역내 국가들을 흔들어 변수를 만들어야 겠다는 고려가 있었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이는 새로운 외교 지형으로 재편되는 동북아에서 한반도 주변국과의 소(小)다자 협력 활성화를 통해 우위를 점한다는 우리 정부의 외교 전략으로 풀이된다.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23일 "지난 7일 중국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 회담에서 (우리 측이) 중국에 남·북·중 외교장관 회담을 한번 해보자고 했다"면서 "지금 당장은 북·중 관계도 어렵고 여러 가지 요소가 있으니 조기에 하기는 어렵겠지만 남·북·중 외교장관 회담이 되면 여러 가지 좋은 사업이 검토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양자 외교도 중요하지만 소(小)다자도 중요하다"면서 "다양한 3자(협의)가 굴러가면 이것이 동북아 평화협력구상과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강화하게 된다. 큰 원과 작은 원이 상호 추동해서 서로 보완하는 어프로치를 우리가 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에 이뤄진 중·일 정상 간 만남에 대해서는 "정상회담 분위기나 의전 형태, 대화 내용을 보면 이것은 다자 회담이기 때문에 가능했던 양자회담이라는 생각"이라면서 "(중·일 양국이 정상회담 직전 발표한 센카쿠 문제 등에 대한) 4개항 합의를 보면 해석차가 있다. 합의 이후의 상황에 대해서 굉장히 중국 측이 화가 나 있다. 이번 합의도 중국 입장에서는 굉장히 강하게 푸시했다(밀었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한편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연내 한·영 장관급 전략대화, 한·중동포럼 참석 및 중동 국가 방문 일정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이 당국자는 전했다.
윤 장관은 내년에는 다보스포럼, 한·독 외교장관 회담 및 뮌헨 안보회의, 서울 믹타(MIKTA) 외교장관회의, 네덜란드 사이버스페이스 총회 등의 일정을 갖는다.
이에 대해 익명을 요구한 외교가의 한 관계자는 아주경제와의 통화에서 "동북아 외교지형의 새판짜기가 가시화되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가 판을 흔들고 이니셔티브를 쥘 수 있는 긍정적인 면이 있다고 본다"면서 "만약에 중국이 적극 주선을 한다면 인권문제 등으로 국제적으로 더욱 궁지에 몰린 북한이 회담에 나설 여지도 있어 보인다"고 내다봤다.
이 전문가는 "요즘 동북아 지역의 이합집산이 각개전투 형식으로 움직인다"면서 "예전에는 서로 팀을 맞춘다면 예측 가능한 형태였는데, 일본이 북한과 교섭에 나서고 중국과 정상회담을 하듯이 어떻게 보면 한국을 포위하는 형국"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 정부로서도 지금까지의 원칙을 고수하며 전통적인 우방을 믿고 서 있기보다 적극적으로 움직이면서 역내 국가들을 흔들어 변수를 만들어야 겠다는 고려가 있었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