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김승환 교수 LXR 단백질에서 부작용만 억제 성공.... 동맥경화증 치료 가능성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12-02 08:1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김승환 서울아산병원 교수]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 최근 서구식 식생활 등으로 인해 환자가 크게 늘고 있는 죽상동맥경화증(이하 동맥경화증)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다.

동맥경화증은 LDL 콜레스테롤(나쁜 콜레스테롤)이 동맥 안에 쌓이면서 혈관이 좁아지는 질환으로, 방치하면 심뇌혈관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지금껏 LDL 콜레스테롤 자체를 낮추는 방법으로 치료해왔지만 근육독성 등 부작용이 잇따라 보고돼 새로운 치료방법이 요구됐다.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은 김승환 약리학교실 교수팀이 최근 HDL 콜레스테롤(좋은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LXR 단백질로 동맥경화증을 치료하는 대안을 제시했다고 2일 밝혔다.

LXR 단백질은 간을 비롯한 여러 조직에서 콜레스테롤 대사를 조절하는 전사인자다. HDL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치료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활성화되면 중성지방 합성이 늘어나 지방간을 일으키는 부작용 탓에 신약 개발에 한계가 있었다.

김승환 교수는 LXR 단백질의 치료효과는 살리고, 부작용만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다. 연구과정에서 LXR 단백질의 중성지방 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TRAP80 단백질을 최초로 규명하였으며, 이 TRAP80 단백질을 제어함으로써 LXR 단백질의 부작용 경로만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김 교수팀은 이를 입증하기 위해 실험쥐를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꼬리정맥주사를 이용해 한 그룹에는 TRAP80 단백질 억제 바이러스를 1 X 1011만큼 투여한 후, LXR 단백질 활성제 50㎎/kg을 투여한 반면, 다른 그룹에는 LXR 단백질 활성제 50㎎/kg만 투여했다.

1주 후 관찰한 결과 LXR 단백질만 활성화시킨 그룹에서는 HDL 콜레스테롤 증가와 더불어 간 조직 중성지방 3배 증가, 혈중 중성지방 2배 증가 등 부작용이 나타났지만, LXR 단백질 활성화에 앞서 TRAP80 단백질을 억제한 그룹에서는 중성지방이 증가하는 부작용 없이 HDL 콜레스테롤이 66mg/dL에서 92mg/dL로 40% 이상 늘어나는 결과를 얻었다.

이 기술이 임상에 성공적으로 적용되면 HDL 콜레스테롤을 높임으로써 LDL 콜레스테롤을 혈관에서 떼어내 간으로 돌려보내는 새로운 치료방법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또한 이 기술은 신약개발에 광범위하게 응용될 수 있어신약 개발에 한계가 있던 많은 치료물질들이 이 기술로 재조명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김승환 교수는 “이번 연구의 주된 성과는 치료효과와 부작용을 동시에 지니는 단일 물질의 두 가지 대사경로를 분리해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로만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며 “동맥경화증 외에도 지방간 등 다양한 질환의 신약 개발에 이 기술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