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2/08/20141208105707231394.jpg)
아주경제 이소현 기자 = 대우인터내셔널은 지난 1일부터 미얀마가스전에서 최종 목표생산량인 일일 약 5억 입방피트(원유로 환산 시 약 8만3000배럴)의 가스 생산을 성공적으로 시작했다고 8일 밝혔다.
대우인터내셔널이 운영권을 갖고 있는 미얀마가스전 ‘쉐(Shwe)프로젝트’는 2013년 6월부터 하루 7000만 입방피트의 가스를 첫 생산한 이후 단계적으로 판매물량을 늘려 이번에 생산량의 최종단계인 일일 5억입방피트에 도달하게 됐다.
그동안 생산된 가스는 미얀마 내수시장은 물론, 중국 윈난성, 구이저우성을 거쳐 최남단 광시좡족 자치구 등 중국 수요처로 공급되고 있다.
대우인터내셔널은 올해 미얀마가스전에서 약 2천5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했다. 생산 안정기에 진입하는 내년부터 향후 25~30년 동안 연간 3000억~4000억원의 세전이익을 지속적으로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얀마가스전은 대우인터내셔널의 주 수익원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최종빈 대우인터내셔널 석유가스생산본부장 상무는 “미얀마 가스 가격은 유가에 연동돼 있으나 유가 이외에도 미국 물가지수가 연동돼 있고 달러 강세에 따른 환율효과를 감안할 때 내년 말까지 두바이 유가가 60불선으로 하락해도 3000억원의 이익은 무난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대우인터내셔널은 미얀마 가스전 외에도 다양한 석유‧가스 개발에 활발히 나서고 있다. 국내 민간회사로는 최초로 2011년 9월 우리나라 정부로부터 국내 동해 대륙붕 6-1S 해저광구에 대한 탐사권을 획득했다. 현재는 가스 자원량 확인을 위한 평가정 시추를 진행하고 있다.
또 2016년에는 호주 에너지 전문기업인 우드사이드사와 공동으로 미얀마 심해 AD-7 광구에 대한 탐사정 시추를 진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2013년 8월에는 캐나다의 벨라트릭스사로부터 뱁티스트 지역(캘거리 시 북서쪽 약 200㎞ 위치)내 광구 지분 일부를 인수하여 비전통자원인 타이트오일가스 개발에도 나서는 등 석유‧가스 개발 전문기업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