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2/08/20141208172457695500.jpg)
[폼페이 화산폭발당시 묻힌 사람들 모습. 사진=박현주기자]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 =서기 79년 8월 24일 베수비우스 화산 폭발로 한순간에 역사 속에서 사라졌던 고대 도시 폼페이. 하지만 이 비극은 폼페이를 각종 역사 낭만을 자아내는 공간으로 재탄생시켰다. 세계 고고학사적으로 특별한 의미로 등극되어 있다. 순식간에 화산재에 덮였지만 당시 생활 모습을 그대로 간직했기 때문이다. 199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고대 로마도시 폼페이의 타임캡슐이 열렸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외국문명전 일환으로 특별기획한 '로마제국의 도시문화와 폼페이'전이 9일 개막했다.
전시는 베수비우스 화산 폭발의 순간의 고스란히 전한다. 당시 살았던 사람과 동물들의 죽음의 그대로 전시돼 놀라움과 경이로움을 동시에 선사한다. 쭈그린 채 손으로 입과 코를 막고 있는 남자, 옷으로 얼굴을 감싼 채 엎드려 죽은 여인, 집 안에 묶여 있다가 고통스럽게 죽어간 개의 모습을 만날수 있다.
각종 조각품과 장신구, 벽화, 캐스트(cast) 등 폼페이 유적 출토유물 298건이 전시됐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2/08/20141208172238560480.jpg)
[뱀 모양의 팔찌]
전시에는 집 내부 벽을 장식한 벽화가 대거 선보인다. 잘 가꾼 꽃과 나무 사이를 날아다니는 새들이 있는 정원을 그린 그림, 신화 속의 의미 있는 장면과 실제 기둥과 같은 건축적인 양식을 담은 그림은 폼페이 사람들의 뛰어난 조형 감각과 높은 예술적 수준을 느낄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