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2/18/20141218150559186071.jpg)
[사진제공=tvN]
아주경제 안선영 기자 = 김원석 감독과 정윤정 작가가 '미생' 속 명대사를 꼽았다.
정윤정 작가는 18일 서울 신사동 CGV 청담 씨네시티에서 열린 tvN 금토드라마 '미생'(극본 정윤정·연출 김원석) 기자간담회에서 "명대사를 만들기 위해 명대사를 만들 수는 없다. 명대사 이전에 명감정, 명상황이 있어야 한다"고 입을 열었다.
이날 정윤정 작가는 "'내일 봅시다'라는 대사가 좋았다. 내일 보는 게 그냥 좋았다"고 밝혔다.
"내일 봅시다"라는 말은 강대리(오민석)가 퇴사 직전까지 갔던 장백기(강하늘)의 마음을 돌려 놓은 결정적인 한 마디이자 진심 어린 한 마디였다. 장그래(임시완)에게 마음의 문을 연 장백기 역시 그래를 향해 "내일 봅시다"라는 인사를 건넸다.
김원석 감독 역시 "'나도 내일 봅시다'라는 말이 좋았다. '잘 하자' 같이 평범하고 명대사 같지 않지만 뭔가 의미가 묘한 말들이 좋았다"고 되돌아 봤다.
김 감독은 "엄청난 명대사가 아니라 그냥 말인데 맥락에서 기억에 남는 게 있다. '내일 봅시다'라는 말은 단순히 내일 보자는 이야기가 아니라 '내 마음에 들어왔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많은 분들도 좋아해 주셨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애'라는 말도 좋았다. 너와 내가 다를 게 없고, 우리가 힘든 게 누구의 잘못도 아니고, 우리가 같이 살아야 겠다는 걸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tvN 금토드라마 '미생'은 바둑이 인생의 모든 것이었던 장그래가 프로입단 후 냉혹한 현실에 던져지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렸다. 일에 갇혀 울고 웃는 평범한 직장인들의 삶과 인간관계를 구체적이고 감동적으로 그려내며 큰 사랑을 받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