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프랑스 주간지 ‘샤를리 에브도’ 테러사건과 관련 유럽 각국 정상들은 11일(현지시간) 파리에 모여 테러를 규탄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또 같은 날 열린 반테러 국제회담에서는 국경과 인터넷 감시를 강화해 테러를 사전에 봉쇄하겠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의 제의로 ‘테러규탄 행진’을 실시, 국제사회가 ‘표현의 자유’를 존중하고 테러에 굴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번 파리 총격 테러를 계기로 유럽에서는 테러 위험이 고조되고 있으며 테러의 사전 봉쇄를 위한 신속한 대책 실행이 요구되고 있다.
▲ 유럽, 국경·인터넷 감시 강화
유럽 주요국 내무장관은 11일 파리에서 반테러 국제회담을 열고 유럽지역의 국경관리를 강화하기로 합의하고 항공기 탑승자 정보의 공유, 인터넷 기업을 통한 테러 정보 수집 강화를 검토해나가기로 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2일 보도했다.
솅겐조약은 유럽이 EU로 통합된 기본 이념에 따른 조치지만 테러리스트 등이 국경 관리가 허술한 지역에 침입했을 경우 유럽 역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유럽에서는 지중해 해로와 동유럽 육로를 통한 불법 이민자들의 유입이 증가하고 있어 테러리스트도 이 경로를 악용할 우려가 있다.
CNN 방송은 이번 파리 총격사건 테러범은 인쇄공장에서 인질극을 벌였을 때 수류탄 등의 무기를 소지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테러범이 소지한 수류탄은 총기규제가 엄격한 프랑스에서 조달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보고 유럽 외 지역의 국경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제기됐다.
또 항공기 탑승자 정보 공유는 유럽의회가 개인정보보호 측면에서 수용하지 않았던 경위가 있어 향후 어떻게 구체화될지 주목된다.
▲ 프랑스 반테러 시위 370만명 운집, 역대 최대
프랑스 내무부는 11일(현지시간) 이번 파리 총격 테러와 관련해 프랑스 전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열린 테러 규탄 대규모 행진 참가자는 370만 명에 달했다고 발표하면서 “프랑스 역사상 최대 규모”라고 밝혔다.
AFP통신은 11일 베르나르 카즈뇌부 내무장관이 “전례가 없는 집회”라고 평가했다고 전했으며 정확한 집계가 어려워 실제 참가 인원을 정부 공식 추산을 넘어설 것이라고 보도했다.
올랑드 대통령과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마테오 렌티 이탈리아 총리, 마리아노 라호이 스페인 총리 등 34개국 정상과 17명의 테러 희생자 유가족들이 팔짱을 끼고 이날 오후 파리 레퓌블리크 광장에서 나시옹 광장까지 3km에 이르는 행진을 선두한 집회에는 약 160만 명이 참가했다.
▲ 미국, 폭력적 극단주의 대응 정상회담 내달 개최 발표
미국 백악관은 11일(현지시간) 폭력적 극단주의 대응을 위한 정상회담을 2월18일 워싱턴에서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AP통신에 따르면 내달 개최될 정상회담의 참가국은 ‘모든 동맹국’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백악관은 “최근 캐나다와 호주, 프랑스에서 잇따라 발생한 비극적인 공격 행위들을 고려할 때 폭력 행위 예방을 위한 노력이 시급해졌다”고 이번 회의 개최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백악관은 미국 정부가 2011년부터 사회복지, 교육, 종교 분야의 지역 협력자들과 함께 폭력적 극단주의를 예방한다는 전략을 제시하고 있으며 2월 정상회의에서도 이런 전략이 주로 다뤄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오바마는 행진 불참, 국제사회 테러규탄 단결 얼마나 갈지 미지수
미국 CNN방송은 파리 행진에 오바마 대통령과 존 케리 국무장관이 불참했다고 보도했다.
CNN은 세계 34개국 정상이 집결해 파리 주간지 테러를 규탄하고 표현의 자유를 주창하는 역사적 현장에 미국의 대통령이 빠진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미국은 파리 행진에는 테러방지 회의 참석차 프랑스를 방문 중인 에릭 홀더 법무장관과 주프랑스 미국 대사를 정부 대표로 참석시켰다고 전했다.
이날 백악관은 내달 정상회담 개최를 발표 했을 뿐, 오바마 대통령의 일정도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케리 장관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초청으로 인도를 방문 중이다.
한편 영국 BBC 방송은 11일 파리 총격 테러 사건에 대한 충격과 슬픔으로 국제사회가 하나가 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단결’과 ‘연대의식’이 얼마나 오래 갈지는 미지수라고 보도했다.
BBC는 지난 1944년에는 나치로부터 해방된 기쁨으로 시민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왔지만, 이번에는 겉으로는 단결을 외치면서도 마음 속 깊숙한 곳에는 공포심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70년 전과 다른 심리상태라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