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전북도가 전발연에 대한 특별감사와 별도로 검증위원회를 구성, 연구원들에 대한 논문 검증을 실시한 결과 연구원들의 연구과제 대부분 표절 의혹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사실로 드러날 경우 또 한 차례 거센 파문이 예상된다.
지난달 24일 전북도가 전발연을 상대로 한 특별감사 결과 발표는 충격적이었다. 연구 윤리와 도덕성은 온통 실종되고, 부패와 타락이 만연한 총체적 난맥상을 여실히 드러냈다. 감사관들조차 "이렇게까지 심한 줄은 몰랐다"면서 "자칫 조직을 폐쇄하라는 말이 나올 수도 있으니 보도에 신중을 기해달라"고 요청할 정도였다.
전체 연구원 26명 가운데 22명이 징계 대상자에 포함되는 전대미문의 사태가 벌어졌다. 이중 중징계 대상자도 10명이나 된다. 나머지 4명은 별다른 감사가 필요 없는 상황이었다는 점에서 핵심인 연구직만 놓고 보면 사실상 전원이 신분상 조치를 받게 된 것이나 다름없다. 급기야 전발연 개원 10년 만에 존폐 문제까지 논의되는 최악의 상황으로까지 치달았다.
이같은 상황에서 연구원들의 연구과제 표절시비가 또다시 불거져 사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전북도는 지난 2일 전발연이 2011~2014년 수행한 연구과제 총 112건을 검사한 결과 이중 11건을 제외하곤 기존에 있는 다른 연구과제 등과 유사한 것으로 드러났다. 카피킬러(표절검사서비스)와 표절결과 확인서, 소명자료 등을 비교 검증한 결과 112건의 과제 중 유사도율이 0%인 것은 불과 11건에 불과했다. 유사도율은 다른 문서와 얼마만큼 같거나 비슷한지 수치화 것으로 그 비율이 높을수록 표절에 가깝다는 의미다.
전발연은 연구과제 검증결과 통보에 따라 인사위원회에서 표절 여부에 대한 심의를 한 뒤 징계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전발연의 운영전반에 대한 특별감사에 이어 연구보고서의 표절 의혹까지 사실로 드러날 경우 파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함께 전북도의회는 4일부터 열리는 회기 시작과 함께 간담회를 열고 전발연 사태를 집중 논의할 것으로 보여 또 한 차례 후폭풍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도의회 행자위 송성환 의원은 “과연 전발연이 존치해야 할 목적이 있는지 고민이 들어갈 정도 사태가 심각하다”며 의회차원의 고강도 혁신을 예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