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3/06/20150306103532125572.jpg)
[사진=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한아람 기자 = 한국 뿐 아니라 영국, 미국 등 전 세계에서 남학생 성적이 여학생 성적보다 뒤처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학을 제외한 대부분 교과 과목에서 여학생이 우세했다.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7일 발간 예정인 ‘열등한 성(性)’이라는 제목의 최신호 기사에서 이 같이 밝히며 “각국에서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조사결과 15살 기준 남학생들은 수학만 앞서 여학생보다 약 3개월 진도가 빠르고, 과학 부문은 서로 비슷하지만 읽기 부문에서는 여학생이 상당히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64개국을 대상으로 한 이 조사 결과는 여학생이 전체적으로 남학생보다 성적이 약 1년 앞선 것으로 평가됐다.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과락 할 가능성이 50% 더 높았다.
이코노미스트지는 이 같은 현상이 남녀 간 학습태도 차이에서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학교 수업은 시간낭비다”라고 답한 남학생의 비율은 여학생 비율보다 배 이상 많았다. 또 “재미삼아 책을 읽는다”고 답한 여학생 비율은 4분의 3에 이르지만, 남학생은 이에 절반도 채 안됐다.
학습 시간에서도 차이는 두드러졌다.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1시간 더 많은 주당 5시간30분 공부를 하지만 남학생은 비디오 게임과 인터넷 서핑에 여학생보다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때문에 과거와는 달리, 대학생 비율 중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많은 나라가 속속 나타나고 있다. OECD 회원국에서 여대생 비율은 1985년 46%에서 지금 56%로, 2025년에는 58%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과 영국, 스칸디나비아 몇몇 국가에서는 이미 여대생의 비율이 남학생 비율을 추월했다.
그러나 이 같은 추세 속에서도 대졸 여성의 임금은 대졸 남성의 75%에 불과하다. 법조나 의료 부문에서는 남성과 여성이 비슷한 숫자로 동등하게 출발하지만 10∼15년 후 여성은 출산과 양육 탓에 뒷전으로 밀려난다고 이코노미스트지는 지적했다.
그럼에도 이코노미스트지는 머지않은 미래에 여성이 전문직 사회에서 주류를 이룰 것이라고 전망했다. 밤낮없이 일해야 하는 대기업 경영자나 변호사, 의사, 금융인, 정치인 등 남성 점유 직종은 사회적 성취를 갈망하는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들에게 돌아간다는 의미다.
다만 이렇게 사회와 고용 구조가 여성 쪽으로 바뀐다면 앞으로 여성이 아니라 교육을 받지 못해 특별한 기술이 없는 남성이 고통을 겪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