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5/13/20150513150101618268.jpg)
끊이지 않는 예비군 사고[아주경제DB]
아주경제 박성준 기자 = 13일 서울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에서 총기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이같은 안전사고가 과거에도 끊이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과거 예비군 사고 중 가장 인명피해 규모가 컸던 것은 1993년 6월 10일 경기도 연천의 포병사격훈련장에서 발생한 폭발사고다. 당시 포 사격 훈련을 하던 도중 155㎜ 고폭탄 장약통 4개에 불이 붙어 옆에 있던 고폭탄 1발과 조명탄 2발이 함께 터졌다. 이 사고로 동원예비군 16명과 현역 장병 3명 등 모두 19명이 숨지고 5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이 사고로 인해 해당 여단장은 보직해임 됐으며 장교 3명이 구속됐다. 또 김영삼 당시 대통령은 예비군제를 전면 재검토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20여명의 목숨을 앗아간 예비군 훈련사고가 발생하고도 이후 안전의식은 나아지지 않았다. 바로 이듬해 5월 3일 경기도 미금시(지금의 남양주) 예비군 훈련장에서는 시가지 전투훈련을 받던 대학생이 동료 예비군이 쏜 총에 맞아 숨지는 사고가 났다. 당시 시가지전투를 하던 예비군들은 모두 공포탄을 지급받았으나 동료 예비군의 소총에는 실수로 실탄이 한 발 남아있었다.
또 같은 해 7월에는 대구의 예비군 훈련장에서 사격훈련을 하던 대학생이 소총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는 황당한 사건도 있었다.
1999년에도 광주에서 예비군 훈련을 받던 20대 남성이 자신을 향해 총을 발사해 중상을 입었다. 2001년 5월 인천에서는 수류탄 투척 훈련 중 연습용 수류탄이 터져 예비군 1명의 오른손 손가락이 부러졌다. 이 사고는 해당 예비군이 2차 안전핀을 제대로 잡지 않아 일어난 사고였다.
2004년 4월에는 경기도 양주에서 훈련용 전지 뇌관이 터져 예비군 훈련 참가자 4명이 얼굴과 팔, 다리에 상처를 입기도 했다.
예비군 수송 차량의 교통사고도 여러 차례 있었는데 2004년 4월 강원도 인제군 지방도에서는 동원예비군을 태운 버스가 언덕 아래로 추락, 3명이 숨지고 27명이 다쳤다. 2011년 경기도 포천시에서는 군용 트럭이 중앙 가드레일을 들이받고 넘어져 트럭에 타고 있던 예비군 3명이 중상을 입었다.
인명 피해 외에 산불 등 화재 사고도 잇따랐다. 경기도 이천에서는 1999년 4월 동원예비군 포 사격 훈련 도중 박격포 유탄이 산에 떨어져 산불이 발생했고, 2008년 경기도 가평에서는 동원예비군 박격포 사격훈련 도중 포탄이 바위 등에 부딪히며 산불을 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