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한아람 기자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한국의 노인 빈곤율이 1위를 차지했다.
OECD가 21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층의 상대적 빈곤율은 49.6%로 OECD 평균(12.6%)을 웃돌며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만 17세 이하와 18∼25세, 25∼65세 연령대에서의 상대적 빈곤율은 OECD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또 OECD회원국들의 평균 빈부격차가 사상 최대로 벌어진 것으로 드러나 양극화문제가 전 세계의 사회 문제로 떠올랐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34개 회원국의 부유층 상위 10% 평균 소득은 빈곤층 하위 10% 평균 소득의 9.6배에 달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1980년대에는 7배, 2000년대에는 9배를 기록했다.
2013년 기준 한국의 빈부격차는 10.1배로 OECD평균을 웃돌았다. 영국, 일본도 약 10배였으며 미국은 19배로 OECD평균 소득 격차를 훨씬 넘어섰다.
반면 덴마크, 벨기에, 노르웨이, 독일, 네덜란드 등 서유럽과 북유럽 국가는 5∼6배로 다소 적은 소득 격차를 보였다.
자산 격차는 소득 격차보다 더 컸다. 2012년 1%의 최상위 부유층은 전체 자산의 18%를 보유했지만, 하위 40%는 3%만 갖고 있었다.
OECD는 소득과 자산 격차 확대 주요 원인으로 시간제와 임시직, 자영업 종사자 증가를 꼽았다. 1995년부터 2013년까지 회원국에서 만들어진 일자리의 절반이 이런 종류였다고 OECD는 지적했다.
또 여성의 임금이 남성보다 평균 15% 적은 등 남녀 간 불평등도 문제로 지적됐다. OECD는 불평등 감소와 경제성장을 위해 양성 평등을 장려하며 직업 교육 등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부자와 다국적기업이 자기 몫의 세금을 내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은 “OECD 회원국의 불평등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가장 커졌다”면서 “이런 불평등은 중하위 계층의 인적 자원 투자를 어렵게 해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회원국 정부가 이 문제에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