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7/15/20150715104032162354.jpg)
[사진=SBS 뉴스 화면 캡처]
홍 장관은 이날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민화협 주최 강연에서 "개성공단이 가동되고 있지만 최근 임금 문제로 입주기업들이 불편해하고 국민이 걱정한다"며 "합의를 통해 해결한다는 것이 정부 입장"이라고 밝혔다.
그는 "2013년 개성공단 재가동 때 합의를 통해 모든 문제를 해결해 개성공단을 국제 경쟁력을 갖춘 공단으로 만들자고 했다"며 "임금 문제도 합의로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남북공동위 개최를 북측에 요구했고, 조금 늦었지만 북한이 호응해서 내일 공동위가 개최된다"고 말했다.
남북은 16일 제6차 개성공단 남북공동위를 열고 북한이 일방적으로 개정한 노동규정과 함께 북한 근로자 최저임금 인상률 상한선 5% 개정 문제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남북 공동위에서 최저임금 인상 관련 해법이 마련되면 오는 20일이 마감인 6월분 북한 근로자 임금부터는 정상적인 지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측이 최저임금을 일방적으로 5.18% 인상한 이후 3~5월분 임금은 지난 5월 22일 남측 개성공단관리위원회와 북측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이 합의한 개성공단 임금 지급 관련 확인서를 기준으로 납부됐다.
당시 남측 관리위와 북측 총국은 3월 1일부터 발생한 노임의 차액과 연체료 문제는 추후 협의 결과에 따라 소급 적용한다는 확인서 문안에 합의했다.
홍 장관은 "개성공단은 유일하게 남북 협력이 진행되는 공간"이라며 "남북공동위를 통해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가 이뤄지고 나면 개성공단을 바탕으로 (다양한 남북) 협력사업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박근혜 정부의 대북 정책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의 성과가 없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많은 분이 지지해줬고 남북관계의 역사를 고민하면서 만든 것"이라며 "부족한 것은 보완하겠지만 기조는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