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박물관, 15세기 분청사기 가마터 학술 발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03 14:1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모동면 상판리 일원 발굴조사, 학계 관심 고조

[사진=상주박물관 제공]

아주경제 피민호 기자= 15세기 전반의 것으로 보이는 조선시대 분청사기 가마터가 경북 상주시 모동면 상판리 일원에서 발굴 조사돼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번 발굴조사는 상주박물관(관장 전옥연)이 문화재청의 허가를 얻은 후 직접 수행한 최초의 학술발굴조사로서 그 대상을 상주 분청사기 가마터로 잡아 첫 삽을 떴다.

상주지역은 세종실록지리지에 상품(上品)자기소 2개소, 중품(中品)자기소 1개소가 기록된 곳으로 우수한 품질의 고급자기가 생산되는 지역이다.

하지만 옛 상주의 우수한 자기문화가 기록으로만 확인돼 있을 뿐 그 실체에 대한 해명과 접근은 거의 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대한 규명과 자료 확보를 위한 목적으로 상주박물관은 지난 5월 20일 조사에 착수해 현재 조사를 진행 중이다.


이번 조사에서 분청사기 가마 1기와 폐기장 1개소가 확인됐다.

가마는 화구부터 연소실, 초벌구이칸까지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남아 있었다.

초벌구이칸은 연통부와 겸하는 곳에 만들었으며, 접시와 대접·잔탁 등이 중첩돼 있어 당시 가마의 조업상황과 구조 파악에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주고 있다.

발굴된 유물로는 분청사기 대접과 접시를 비롯해 제기·잔받침·고족배 등 고급 제작기술에 의한 다양한 기종이 출토됐으며, 특히 우리나라 가마터 유적에서 최초로 분청사기 베개가 출토된 것은 매우 주목된다.

그 밖에 ‘○芭○十三’이라는 묵서명의 초벌자기편 등 명문자기도 출토되고 있으며, 향후 출토유물 정리를 통해 옛 상주 자기문화의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는 중요자료가 추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조사의 학술자문위원으로 참여한 한성욱 민족문화유산연구원장은 “가마의 잔존상태가 매우 양호해 당시 조업상황을 짐작할 수 있게 하며, 조선시대 상품자기소의 위상을 볼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유물이 출토된 만큼 체계적인 보존과 정비·활용뿐 아니라 향후 문화재 지정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전옥연 상주박물관장은 “이번 발굴조사의 가장 큰 성과는 세종실록지리지의 상품자기소에 부합하는 가마터의 실체를 확인하는 한편 당시 상주뿐만 아니라 경북 일대의 도자기 문화를 선도하는 최고 수준의 도자기 공인 집단이 이 일대에 존재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학술발굴조사는 오는 5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3일과 4일 양일간에 걸쳐 현장을 공개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