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대한상의 제공]
아주경제 양성모 기자 = 2011년 이후 부진한 중소기업 수출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O2O(Online to Offline) 마케팅과 FTA와 한류 활용 등의 새로운 수출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는 6일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 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지난 2011년부터 국내 중소기업 수출이 부진에 빠진 이유로 변화하는 교역환경에 대한 미흡한 대응력과 가격경쟁력 저하를 꼽았다.
상의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소기업 수출증가율은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연평균 1.3%로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전체수출증가율(5.6%)을 크게 밑돌았고 올해 5월(누적기준)까지 전년동기대비 –6.3%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이 이렇자 우리나라 전체 수출 중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2009년 21.1%에서 2014년 18.0%로 하락했으며 올 들어 17.7%로 내림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중소기업 수출 부진의 원인은 교역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력 부족과 가격경쟁력의 저하 때문이다.
우리나라 최대 교역국인 중국은 2000년대 들어 단순 임가공무역을 억제하며 중국 전체무역에서 가공무역의 비중은 2005년 41.5%에서 2014년 26.8%로 크게 하락한 상태다. 또 가격경쟁력에 의존해 수출을 해오고 있으나 엔저 등으로 가격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상의는 “세계교역시장에서 비중을 늘려가는 소비재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특히 온-오프라인 연계 마케팅, FTA와 한류의 전략적 활용 등 새로운 수출전략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먼저 대한상의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O2O 마케팅을 활성화해 해외 현지시장을 직접 공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O2O 마케팅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해 소비자의 구매를 촉진하는 마케팅 전략을 말한다.
대한상의는 “국내 중소기업 제품의 미국 아마존이나 중국 알리바바 등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 입점 지원을 강화하고, 해외에 설치된 중소기업 제품전용매장과 현지 온라인 유통망을 연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FTA로 넓어진 경제영토에 대응해 수출유망품목을 발굴해 전략적으로 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대한상의는 조언했다. 특히 중국내수시장의 확대, 한류 확산으로 소비재 품목이 유망할 것으로 전망돼 생활용품-뷰티, 가전, 식품 분야 등의 품목들이 유망할 것으로 상의는 전망했다. 이외에도 현재 한류 문화콘텐츠와 제품수출이 연계된 해외마케팅은 초보적인 단계로 이를 본격화해 한류 관련 소비재 수출 확대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최근 중소기업의 수출 부진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구조적인 문제로 장기화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중소기업은 혁신기술개발을 통해 소비재 제품의 고부가가치화로 비가격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시장 다각화 등 교역구조를 개선하는 데 노력하고, 정부는 경제환경 변화에 맞춘 정책설계를 통해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의 물꼬를 터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