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계, 임시공휴일 '대박'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19 07:2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14~16일 연휴기간 대형마트 매출액 25.6% 껑충

  • 소비회복에 '큰 효과'…휴일 늘리는 부분은 먼 얘기

[그래픽=김효곤 기자 hyogoncap@]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백화점·대형마트 등 유통업계가 광복절 임시공휴일 덕을 톡톡히 봤다. 14~16일 연휴 기간 중 유통가 매출액이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임시공휴일로 얻은 경제효과를 이례적으로 강조하고 나섰다. 단 하루의 짧은 기간이지만 충분히 소비회복으로 효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1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 14일 임시공휴일 지정에 따라 연휴기간 중 백화점·대형마트·면세점 매출액 등이 큰 폭 상승했다.

백화점 및 면세점 매출은 14일부터 시작된 코리아 그랜드 세일 영향으로 전주 대비 각각 6.8%, 16.5% 증가했다. 대형마트 매출액 역시 25.6%로 껑충 뛰었다.

특히 정부는 오는 10월 말까지 열리는 코리아 그랜드 세일에 외국인 관광객뿐만 아니라 국내 소비 진작도 기대를 걸고 있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로 침체된 관광시장 조기회복을 위해 관광 비수기(연말~연초)에 실시했던 코리아 그랜드 세일을 앞당겨 추진한 배경이다.

코리아 그랜드 세일은 총 255개 업체(2만9482개 업소)가 참여해 지난해(135개 업체참여)보다 규모가 커졌다. 쇼핑·여행·엔터테인먼트·식음료·패션·뷰티·숙박·교통·통신 등 광범위한 업계가 참여 중이다.

올해는 예년 외국인 대상 할인행사에서 확대돼 내수활성화를 위해 내국인 대상으로 백화점, 대형마트, 프랜차이즈, 편의점, 전통시장 등도 코리아 그랜드 세일 행사에 동참했다.

이호승 정책조정국장은 “오프닝 이벤트, 한류 박람회 등 각종 행사 및 SNS, 주요 일간지, 전광판, 옥외광고, 리플렛 배포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국내외 온·오프라인 홍보를 지속하고 있다”며 “특별 테마 주간 지정 운영 및 문화관광 체험 확대, 9~10월 중국 중추절·국경절과 연계해 중국 관광객 유치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고속도로 통행량은 14일 연휴 첫날 518만대를 기록해 사상 최대였던 작년 추석 수준(520만대)에 육박했다. 연휴 기간 중 전주 대비 5.5% 증가한 수치다.

메르스로 주춤했던 외국인 관광객도 모처럼 기지개를 폈다. 연휴기간 동안 국내 외국인 입국자 수는 전주보다 8.5% 늘었다.

한편 현대경제연구원은 14일 임시공휴일 지정에 따라 소비지출이 약 2조원 증가하고 이로 인해 생산 3조9000억원 효과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정부는 이번 임시공휴일 효과로 향후 전체적인 휴일 수를 늘릴 것이냐는 부분에 대해서는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이 국장은 “하루 정도 휴일을 지정한 것이기 때문에 휴일 지정에 따른 내수 진작 효과가 큰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휴일을 계속 더 늘릴 것이냐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현재 공식적으로 검토를 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