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하는 한국 증시 버팀목은 없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20 17:4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부원 기자 = 한국 증시가 가파르게 추락하고 있으나, 뾰족한 대책은 보이지 않는다. 

금리인상을 앞둔 미국, 위안화 평가절하에 나선 중국이 세계 금융시장을 뒤흔들고 있는 탓이지만, 우리 증시 하락세는 유독 두드러진다. 정부가 적극적인 증시 부양으로 불안감을 진정시켜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으나, 본질적인 대책은 아니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위안화 평가절하를 단행한 11일부터 이날까지 8거래일 만에 2003.17에서 1914.15로 4.44%(89.02포인트) 하락했다. 지수가 오른 날은 같은 기간 13일 하루뿐이다. 코스닥은 더 심각하다. 이 기간 지수는 746.34에서 656.71로 12.01%(89.63포인트) 떨어졌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의사록이 전날 공개되면서 9월 금리인상에 대한 전망이 약화되기는 했지만, 이를 둘러싼 불안감은 신흥국을 중심으로 더 커지고 있다. 실제 외국인은 8월 들어 이날까지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4000억원 이상을 빼내갔다.

주요 증권사가 코스피 지지선을 1900선 아래까지 낮추고 있는 이유다. 한국투자증권은 연초 저점이자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 9.5배 수준인 1870선을 지지선으로 제시하고 있다. 대우증권도 1850선으로 내렸다. 코스닥 역시 대우증권이 625선, 삼성증권은 620선을 지지선으로 보고 있다.

정부와 유관기관은 극심한 증시 불황기마다 부양책을 펼쳐왔다. 증시안정펀드를 조성하거나, 펀드 투자자에 세제혜택을 줬고, 한시적으로 거래수수료를 감면하기도 했다. 1989년 12월에는 '12·12 증시안정화 정책'을 통해 대규모 증시부양이 이뤄진 바 있다.

박석중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1989년 당시 신용거래 확대로 깡통계좌 문제가 발생하자 정부가 일괄 반대매매로 해결했고, 증시안정기금은 이런 물량을 소화하는 데 사용됐다"며 "단기적인 수급 불균형으로 시장이 급락했지만, 차츰 상승세로 돌아섰다"고 말했다.

물론 신중론도 많다. 대규모 부양책으로 인위적인 시장개입에 나설 경우 부작용이 불가피한 만큼, 한시적인 세제혜택이나 거래비용 감면 같은 상징적인 수준에 그쳐야 한다는 것이다.

정유신 서강대 교수는 "극단적인 상황이라면 강력한 부양책을 고려할 수 있겠지만, 원칙적으로 시장개입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현재 시점은 정부에서 외환보유고 관리에 집중해야 할 때"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