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고위급 접촉] 접점찾기 팽팽한 신경전…'지뢰도발 사과' vs '심리전방송 중단'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23 13:2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22일 오후 판문점에서 열린 남북 고위급접촉에서 김관진 국가안보 실장(오른쪽 아래)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악수를 하고 있다. (오른쪽 아래 시계반대방향)김관진 국가안보 실장, 홍용표 통일부 장관, 김양건 노동당 비서,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사진= 통일부 제공]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남북이 23일 오후 고위급접촉을 재개하기로 함에 따라 위기해소의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전날 오후부터 이날 새벽까지 이어진 10시간에 가까운 '밤샘 마라톤협상'에서 남북은 일단 강한 협상의지를 확인했지만 해법 도출을 위한 각론에서는 팽팽히 맞서 합의를 도출하지 못했다.

팽팽한 이견차에도 남북이 김관진 국가안보실장·홍용표 통일부장관과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김양건 노동당 비서(겸 통일전선부장)간 고위급접촉을 이날 오후 3시부터 재개하기로 한 것을 두고 전문가들은 긍정적 전망을 내놓고 있다.

김영수 서강대 정외과 교수는 "이번 협의만으로도 앞서 남북간의 급박했던 긴장 상황은 끝났다고 봐야 한다"면서 "어느 한쪽이 먼저 총을 들 경우 비난이 몰릴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남북간 입장차가 만만치 않다는 점이다.

10시간에 가까운 마라톤협상에서 북측은 이번 위기의 원인이 된 북한의 지난 4일 비무장지대(DMZ)내 지뢰도발과 20일 DMZ 인근에서의 포격도발이 자신들의 소행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우리 군의 대북심리전 방송의 즉각적인 중단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측은 이미 고위급접촉 전부터 지뢰도발과 포격도발에 대해 "남측이 조작한 것"이라며 발뺌해왔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위기해소의 출발은 북측이 우리측 부사관 2명에게 큰 부상을 입힌 지뢰도발에 대해 솔직히 인정하고 사과와 책임자 처벌 등이 선행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정부로서는 지뢰도발은 물론 북측의 포격도발에 대해서도 북측의 성의있는 입장을 받아내야 하는 상황이다.

정부는 북측이 요구하는 대북 확성기 방송 문제에 대해서도 북측의 지뢰도발로 방송을 재개한 만큼 지뢰도발에 대한 북측의 성의있는 태도 이전에는 중단할 수 없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팽팽한 입장차에도 극적 타협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우선 대북 심리전 방송 중단은 북측에게 절실한 부분이며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으로부터 '방송 중단'의 특명을 받았을 것으로 관측하는 시각도 있다.

우리 입장에서도 북측의 추가도발 억제를 통한 긴장완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북측이 최근 도발에 대해 솔직한 인정은 하지 않더라도 대북 심리전 방송 중단을 얻어내기 위해 자신들의 소행이라는 주체는 생략한 채 '군사분계선에서의 최근 상황'이라는 두루뭉술한 표현으로 유감 표명을 할 여지는 있는 것 아니냐는 조심스러운 전망도 나온다.

문제는 북측이 이렇게 나오더라도 "도발 악순환의 고리를 끊겠다"면서 원칙을 강조해온 우리 정부가 명확한 주체표현이 없는 유감을 수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다.

'난제'인 지뢰도발에 대한 해법은 일단 미룬 뒤 북측은 전방지역에 대한 준전시상태를 해제하고, 우리 정부는 대북 심리전 방송을 단기적으로 중단하면서 일단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추가 고위급접촉 일정을 잡는 우회로를 택할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협상 과정에서 남북이 인도주의적 문제인 이산가족 상봉카드를 적절히 활용하며 합의도출의 여지를 키울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