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창 농소고분 목관서 인도 문자 발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26 11:1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최규온 기자 =전북 순창 농소고분 관곽(棺槨) 목관에서 금가루로 쓴 고대 인도 문자인 범자(梵字) 300여자가 발견됐다.

농소고분은 지난해 12월 발굴한 고려시대 고분이다. 범자는 2겹으로 된 관곽의 안쪽 관 측면에서 발견됐다. 글씨들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사용된 서체인 실담체와 란차체로 쓴 뒤 글자 바깥을 흰색 원으로 감싼 모습이다.
 

▲농소고분 목관의 서측벽 관재[사진제공=문화재청]


내용은 '육자진언'(六子眞言)과 '파지옥진언'(破地獄眞言) 등 부처의 가르침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진언 2종으로, 두 진언이 반복적으로 사용됐다.

육자진언은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의 육도를 벗어나 중생을 구제해 부처 세계에 태어나게 하는 '옴마니파드메훔'이고, 파지옥진언은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을 구제하는 '옴까라데야스바하'이다.
 

▲목관중 육지진언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고려시대 목관에서 파지옥진언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또 목관을 조사한 결과 재질은 소나무며, 제작 시기는 고려시대 후기인 13∼14세기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이뤄진 농소고분 조사에서는 청동합(靑銅盒)과 청동수저, 머리카락을 뭉친 다발이 가지런히 담긴 청동반(靑銅盤)이 나온 바 있다.

연구소는 두개골과 머리카락 유전자 분석 등을 추가로 진행해 내년에 발굴조사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