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코스닥 시총 30위사 평균 영업익 전년比 21% ↑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30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혜림 기자 = 올해 상반기 코스닥 시총 상위 30위 기업의 평균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새로운 주도주로 떠오른 디지털콘텐츠와 바이오업종의 실적 개선이 두드러졌다.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코스닥시장의 시총 상위 30위 기업의 평균 영업이익(연결재무재표 기준)은 전년 동기 대비 21% 늘어난 294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0% 증가한 2282억원, 당기순이익은 36% 많은 258억원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수익성을 보여주는 순이익률은 지난해 상반기 7.5%에서 9.4%로 증가했다. 재무 건전성 관련 부채비율은 69.8%에서 61.9%로 줄었다.

최근 코스닥시장의 선도 업종은 종전 정보기술(IT)과 장비 등 제조업 중심에서 디지털콘텐츠와 바이오로 재편되는 추세다.

시총 30위 기업 중 디지털콘텐츠와 바이오 업종에 속한 기업 수는 지난 2009년 말 5개사에서 11개사로 2배 넘게 늘었다.

두 업종의 상반기 영업실적도 전년 대비 크게 개선됐다.

디지털콘텐츠업종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4% 가까이 늘었다. 같은 기간 시장 전체 영업이익 증가율인 4.7%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매출과 당기순이익도 각각 12%, 60% 증가해 시장 전체 증가율(매출5%, 순이익 16%)을 상회했다.

제약·의료를 포함한 바이오업종의 전년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 상승율은 각각 12%, 22%를 기록했다.

한편 향후 실적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상반기 판매·공급계약 수주 금액도 전년 대비 크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상반기 코스닥 상장법인이 공시한 판매·공급계약 수주 금액은 총 3조9473억원으로 전년 동기(2조9767억원) 대비 32.6%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반도체업종이 2361억원에서 5158억원으로 118% 넘게 늘어 시장 전체의 수주 증가를 견인했다. 수주기반 산업인 건설업도 6146억원에서 1조1409억원으로 86% 늘었다.

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 관계자는 "최근 코스닥시장은 중국 경기 부진과 글로벌 증시 침체 등 영향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시장 대표기업과 선도 업종의 영업실적이 견고하게 개선되는 등 시장의 펀더멘털은 여전히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상반기 수주 증가에 따라 향후에도 상장법인의 영업실적 호조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