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성마비 장애 딛고 서울대 졸업… "불가능 아닌 불편함"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28 22:1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서울대 졸업생을 대표해 강단에 오른 정원희 씨 [사진=SBS 뉴스 캡쳐]


아주경제 이소현 기자 = 뇌성마비 장애를 딛고 서울대를 졸업한 특별한 학생은 장애는 불편함을 주는 요소일 뿐 어떤 불가능도 주지 않음을 몸소 보여줬다.

28일 오전 열린 서울대 제69회 후기 학위수여식에서 졸업생 대표 연설을 맡은 정원희(25·여)씨는 "살다보면 뭐든 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갖기엔 힘겨운 순간도 있겠지만, 상황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자신뿐이라는 것을 기억하자"며 "그렇게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불가능 속에서 가능함을 증명해 보이는 삶을 살아가자"고 말했다.

정씨는 생후 11개월 만에 뇌성마비 판정을 받았지만 중고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마치고 2009년 서울대 경영학과에 입학했다. 졸업할 때까지 봉사활동, 교환학생, 장애문화예술연구단체 '짓' 구성 등 다양한 학내외 활동을 했다.

정씨는 "장애 때문에 직간접적인 편견에 직면해야 했지만 저의 삶을 지탱한 것은 '가능성에 대한 믿음'이었다"며 "장애는 불편함을 주는 요소일 뿐 어떤 불가능도 주지 않을 것이라는 부모님의 가르침 덕에 무한한 꿈을 꿀 수 있었다"고 말했다.

또 "이 사회에서도 제가 담당할 수 있는 역할과 공간이 있음을 믿게 한 서울대에서의 시간은 이런 믿음의 원천이 됐다"고 말했다.

장애아동 교육을 비롯해 다양한 봉사활동을 한 정씨는 "홀로 휠체어로 유럽 배낭여행을 하고, 장애문화예술연구단체를 구성해 공연한 것 등은 제 가능성에 대한 믿음을 뒷받침해주는 증거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졸업생들에게 "'삼포세대', '헬조선' 등의 수식은 우리에게 희망이 없다고 말하지만, 어려운 순간에는 우리가 모교에서 함께 한 기억을 떠올리며 가능성에 대한 믿음을 다잡자"며 "어두운 세상을 밝히는 희망의 증거가 되자"고 강조했다.

서울대는 이날 학사 878명, 석사 969명, 박사 524명 등 총 2천371명에게 학위를 수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