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보이스피싱 대응 한·중·일 공조 스타트…'그놈 목소리' 해외에도 공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31 07:4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금융당국이 보이스피싱 대응을 위한 한·중·일 3국 공조에 시동을 걸었다.

3국 공조의 일환으로 보이스피싱 피해예방을 위해 사기범 목소리를 공개한 '그놈 목소리' 노하우가 중국에 전파된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지난 17일부터 5일간 중국은행감독회와 일본금융청 등 양국 금융당국과 보이스피싱 공동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우리 측은 이 자리에서 보이스피싱을 포함한 금융사기 대응 현황을 공유하고 상호 공조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

금융감독당국 간 핫라인 확보를 비롯해 경찰도 포함한 공조체계 구축도 협의 대상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측은 피해자의 전화신고만으로 계좌 지급을 정지할 수 있는 제도와 300만원 이상 입금된 계좌의 자동화기기(CD·ATM) 인출을 30분간 지연하는 제도, 보이스피싱 목소리 공개 등을 설명했다.

금감원은 지난달 13일 '보이스피싱지킴이' 홈페이지에 사기범의 보이스피싱 전화 내용을 담은 일명 '그놈 목소리' 체험관을 개설하고 40건에 달하는 사례를 공개한 바 있다.

금감원은 중국 측의 요청에 따라 사기범 목소리 녹음파일 입수 방법, 공개기법 등 체험관 운영과 관련한 노하우를 곧 제공하기로 했다.

아울러 중국 금융당국이 사기범 목소리를 공개하기로 결정하면 우리 측이 입수한 340여개의 녹취파일을 중국에 보내 함께 공개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금감원이 이처럼 국제공조에 나선 것은 한·중·일 3국의 보이스피싱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데다 사기범들이 국제조직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2004년 첫 보이스피싱이 발생한 일본에선 2008년 최고치를 기록한 뒤 감소했으나 2012년부터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 경찰청 자료로는 피해자가 2013년 9200여명에서 지난해 1만1200여명으로 증가했다.

중국의 보이스피싱 피해 추정치에 따르면 같은 기간 30만건에서 51만건으로 급증했다.

한국에선 피싱사기 피해자(피해구제신청 기준)가 2013년 1만3326명에서 지난해 1만8543명으로 증가했으나 올해 상반기 1만245명으로 작년 하반기 1만1822명보다 줄었다.

특히 피해계좌 신속정지와 지연인출제 확대 시행 등으로 피해금 환급비율은 35%까지 상승했다.

일본과 중국의 경우 수사가 종료되고 법원의 명령이 있어야만 지급정지가 이뤄지기 때문에 환급비율이 5%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