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문단은 도시정책과장을 단장으로 정책 계획·개발·설계 등 도 소속 담당 공무원과 전문가 팀을 구성해 일선 시·군 도시계획 담당자, 민간사업자, 민원인의 ‘도시계획’ 관련 애로사항을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는 속풀이 자문단을 도입한 배경에 대해 그간 시·군에서 세운 계획을 승인하던 것에서 시·군 지역 민원인과의 갈등에 적극 개입해 중재하고 조정하는 ‘적극 행정’으로 도시계획 사무의 패러다임을 전환하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도시계획은 한번 결정되면 변경이 어려운 10년 또는 20년의 장기계획인 데다, 사유재산권 침해와 공공성 추구 사이의 균형을 잘 맞춰야 한다는 점에서 일선 시·군 담당자들의 부담이 됐고, 특히 사유재산권에 대한 권리가 커지면서 도시계획으로 인한 특혜 시비 논란 등 지역 내 주민 간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도시계획 자문단은 1차 검토 기구인 실무TF팀과 2차 검토 기구인 전문가 자문단으로 구성된다. 실무TF팀은 도 내부 공무원으로 구성되며 사례분석과 관계규정을 참조하여 실무적 의견을 제시한다. TF팀은 전문가 판단 등 높은 전문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시계획위원회와 공동위원회(도시계획·건축) 위원의 자문을 받도록 하며, 기존 인력과 조직을 최대한 활용할 계획이다.
자문대상은 도시계획 변경 등 도시계획분야 전반이며, 신청 대상자는 도 및 시·군 공무원과 민간사업자 민원인까지 해당된다.
도 관계자는 “시·군은 속풀이 자문단에서 제시한 의견을 참조해 신속한 정책적 판단을 할 수 있고, 민원 해결과 함께 합리적 대안이 마련돼 도시계획 행정에 대한 신뢰도 향상될 것"이라며 “시·군 업무교류 확대와 운영과정에서 발굴한 불합리한 규제도 해결해 나가는 시너지 효과도 얻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도는 속풀이 자문단을 도입한 배경에 대해 그간 시·군에서 세운 계획을 승인하던 것에서 시·군 지역 민원인과의 갈등에 적극 개입해 중재하고 조정하는 ‘적극 행정’으로 도시계획 사무의 패러다임을 전환하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도시계획은 한번 결정되면 변경이 어려운 10년 또는 20년의 장기계획인 데다, 사유재산권 침해와 공공성 추구 사이의 균형을 잘 맞춰야 한다는 점에서 일선 시·군 담당자들의 부담이 됐고, 특히 사유재산권에 대한 권리가 커지면서 도시계획으로 인한 특혜 시비 논란 등 지역 내 주민 간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도시계획 자문단은 1차 검토 기구인 실무TF팀과 2차 검토 기구인 전문가 자문단으로 구성된다. 실무TF팀은 도 내부 공무원으로 구성되며 사례분석과 관계규정을 참조하여 실무적 의견을 제시한다. TF팀은 전문가 판단 등 높은 전문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시계획위원회와 공동위원회(도시계획·건축) 위원의 자문을 받도록 하며, 기존 인력과 조직을 최대한 활용할 계획이다.
자문대상은 도시계획 변경 등 도시계획분야 전반이며, 신청 대상자는 도 및 시·군 공무원과 민간사업자 민원인까지 해당된다.
도 관계자는 “시·군은 속풀이 자문단에서 제시한 의견을 참조해 신속한 정책적 판단을 할 수 있고, 민원 해결과 함께 합리적 대안이 마련돼 도시계획 행정에 대한 신뢰도 향상될 것"이라며 “시·군 업무교류 확대와 운영과정에서 발굴한 불합리한 규제도 해결해 나가는 시너지 효과도 얻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