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원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은 "이달 들어 AI 발생 현황을 보면 오리농장 3건(나주·강진·광주 광산), 전통시장 2건(광주 북구·담양), 중간상인 계류장 1건(강진), 식당 1건(담양) 등"이라며 "AI 의심축이 나온 농장 등에 있는 닭과 오리 총 2만7082마리는 모두 예방 차원에서 살처분했다"고 30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정확한 발생 원인을 역학조사 중이지만 가금 중개상인이 연결고리가 돼 중개상인 소유 계류장에 남아 있던 바이러스가 퍼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최대 21일인 AI 바이러스 잠복기를 고려하면 방역이 취약한 가금 중개상인과 관련 있는 농가 등에서 AI가 추가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농식품부는 전망했다.
농식품부와 관계 기관은 추석 연휴기간 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하는 등 비상 태세를 유지하면서 추가 AI 발생에 대비해 긴급방역팀을 꾸려 농가 예찰을 했다.
전파 요인으로 추정되는 가금 중개상인 68명이 방문한 광주·전남·전북 소재 농가 200여개소에 대해서는 30일부터 일제검사에 들어갔다.
10월부터는 철새 이동에 대한 단계별 경보를 발령해 농가·단체·지자체 등 방역 주체별로 차단 방역을 할 수 있도록 조기경보시스템을 운영한다.
아울러 철새군집지역 등 AI 발생 위험이 큰 지역, AI 중복 발생 지역, 가금농가 밀집지역 등은 중점방역관리지구로 설정해 집중적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이준원 실장은 "올해 가을부터 내년 봄까지 AI·구제역 발생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오는 10월부터 내년 5월까지를 특별방역대책기간으로 정했다"며 "특별방역대책기간에 AI 상황실과 더불어 모든 지자체, 방역 기관·단체에 구제역 방역대책 상황실을 설치해 방역 대책을 펼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