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12/11/20151211084228483597.jpg)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남궁진웅 tmieid@]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미국 연준(연방준비제도)의 통화정책 정상화를 앞둔 만큼 민간 경제주체와 정책당국은 레버리지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데 더욱 유의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11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한국은행·국제통화기금(IMF) 공동 주최로 열린 '아시아의 레버리지(차입투자): 과거로부터의 교훈, 새로운 리스크 및 대응 과제' 콘퍼런스 개회사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레버리지가 기초경제여건에 비해 지나치게 상승하면 경제주체들의 채무부담을 증대시켜 오히려 소비나 투자 등 경제활동을 제약하게 된다"며 레버리지가 심하면 금융시스템의 안정을 해치거나 국가 신인도를 떨어뜨릴수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금융기관은 신용공급시 차입자에 대한 심사기능을 강화해 레버리지의 양적, 질적 개선을 꾀해야 한다"며 "자금조달시 안정성이 높은 자금을 확보해 국내외 금융상황이 변할 경우 받게 될 충격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차입자들은 미래 소득의 흐름 및 금리 변동과 관련한 위험, 자산 및 부채 간 만기불일치 위험 등을 적절히 관리해 스스로 재무구조의 안정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책당국이 레버리지를 관리할 필요성도 제시했다. 이 총재는 "정책당국은 거시건전성 정책수단을 활용해 레버리지의 지나친 상승을 억제해야 할 것"이라며 비효율적인 기업이 존속하면서 레버리지만 상승시키는 일이 없도록 기업구조조정을 촉진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시아 신흥국들은 많은 외화 부채를 보유하고 있어 달러 강세 등 대외 리스크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외환건전성을 높일 정책수단 개발과 국가 간 금융협력 강화를 강조했다.
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제적 자본이동의 확대 등으로 국가 간 금융연계성이 크게 높아졌다며 "만약 한 나라가 과도한 레버리지로 인해 금융불안에 빠지게 된다면 그 불안이 다른 나라로 전이될 위험이 높아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