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1억원을 대출받았을 때 신용도가 가장 낮은 10등급의 대출자가 1등급보다 연간 2300만원의 이자를 더 내는 셈이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현재 국내 은행과 보험, 카드, 저축은행 등 금융회사의 가계신용대출을 대출자의 신용등급에 따라 분석한 결과 대출자의 신용등급이 가장 높은 1등급에 적용되는 대출금리는 평균 3.8%였고 2등급은 5.9%, 3등급은 7.5% 등의 순으로 점차 높아졌다.
등급이 가장 낮은 10등급에 적용된 대출금리는 평균 26.7%로 집계됐다. 1등급과 10등급의 대출금리 격차가 22.9%포인트에 달하는 것이다.
각 등급별 대출금리의 차이는 평균 2.5%포인트 내외 수준이다. 그러나 5등급의 평균 대출금리는 11.9%였던 반면 6등급은 17.8%로 높아져 금리차이가 5.9%포인트에 달했다.
다른 등급 간 금리 차이의 2배를 넘는 수준이다. 1∼5등급까지는 저축은행이나 대부업 등의 고금리 대출 비중이 작은 반면 6등급부터 이 비중이 급격히 커졌기 때문이다.
5등급 대출자 중에선 저축은행과 대부업 이용 비율이 5.0%에 그쳤지만 6등급은 이 비율이 24.9%로 급격히 상승했다. 6등급과 7등급(21.2%)의 차이도 3.4%포인트로 평균보다 높았다.
금리구간별로 신용대출 비중을 보면 신용도가 높아 5% 미만의 금리를 적용받는 대출이 73조9000원으로 전체 가계신용대출의 42.0%를 차지했다. 5∼10%의 금리가 적용되는 대출은 24.9%(43조8000원)였다.
중금리 대출로 분류되는 10∼15% 금리대출은 전체의 5.1%에 불과해 금리구간 중 비중이 가장 작았다. 15∼20% 대출금리는 전체의 14.9%, 20∼25%는 7.5%를 각각 차지했고 25%가 넘는 고금리 대출은 5.6%로 조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