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12/30/20151230160722408197.jpg)
[사진=워렌버핏 트위터 ]
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미국 주식시장의 활황이 경영자(CEO)들의 재임기간에도 좋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10년 넘게 장기간 재임하는 CEO들이 10년 전에 비해 주목할 만큼 늘어났다고 CNN머니가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회사 전체의 운영과 수익을 책임지는 CEO의 자리를 오래 차지하는 기업인들은 많지 않다. 그러나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고경영자들의 재임 평균 수명이 2005년의 5년에서 6년 정도로 다소 늘어났으며, 10년 이상 자리를 지키는 이들도 심심치 않게 눈에 띤다고 CNN은 지적했다.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기업 CEO 중 10년 이상 자리를 지킨 사람은 10년 전 94명에서 현재 141명으로 50여명 가까이 늘었다.
CNN머니는 수치로만 보면 변화의 폭이 작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글로벌 경기침체와 금융위기 때 상당수의 CEO가 해고됐던 점을 감안해 볼 때 최근 10년의 변화는 주목할만 하다고 평가했다.
현재 미국 CEO 중에 가장 오래 자리를 지키고 있는 사람은 CEO는 L브랜드의 레슬리 웩스너다. 세계적인 속옷브랜드 빅토리아시크릿 모회사로 알려져 있는 L브랜드를 지난 1963년 창립해 현재까지 경영하고 있다. 장수 CEO 중 가장 대표적인 인물로는 45년간 버크셔해서웨이를 이끌어온 워런 버핏도 꼽힌다.
이처럼 최근 CEO 재임기간이 늘어난 가장 큰 이유는 미국 주식시장이 2009년 금융위기를 벗어난 이후로 지속적으로 좋은 흐름을 보였기 때문이라고 CNN 머니는 지적했다. 주가가 좋은 수익률을 내는한 투자자들은 CEO를 갈아치울 이유가 없다.
조지타운대 맥도너 경영대학원의 제이슨 슐로처 교수는 회사를 창업한 CEO의 재직기간이 대체로 길다고 지적했다. 창업자들은 회사 번영을 위해 누구보다 노력을 기울이며, 결과적으로 좋은 수익을 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