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국내에서 투자자들을 모집해주는 등 범행을 도운 금융브로커 한모(50)씨를 사기·횡령 등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들은 "1972년 발행된 브라질 국채를 매각하거나 담보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유동화하려고 하는데 투자하면 큰 수익을 안겨주겠다"고 속여 2014년 1월부터 작년 3월까지 5명으로부터 16억여원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브라질 국채를 유동화한 자금을 활용해 미화 1억5000만달러의 담보 가치가 있는 신용장을 개설해주거나 최대 25배의 수익을 안겨주겠다는 감언이설로 투자자를 모집했다.
피해자는 주로 무역업을 하는 사업가이거나 잉여 자금의 투자처를 찾는 자산가였다. 한 피해자는 한꺼번에 7억원을 투자했지만 한 푼도 돌려받지 못했다.
브로커 한씨는 신용장 개설 비용을 부풀리거나 투자자로부터 받은 자금 일부를 빼돌려 별도로 2억원을 챙긴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액면가 12억 크루제이루(1970년대까지 브라질 화폐·현 헤알)인 해당 국채의 현재 가치가 1조원에 달하고 2036년 만기시 3조∼4조원에 이를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사실과 달랐다.
검찰이 브라질 재무성·중앙은행에 직접 문의한 결과 "1970년대 발행된 모든 채권은 만기가 1년 미만이었으며 이후 만기가 재조정된 적이 없다. 해당 국채의 유동화 시도는 사기"라는 답이 돌아왔다.
이씨 등은 또 국채 유동화를 의뢰한 브라질인 S씨의 할아버지가 브라질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했고 그 공로로 브라질 대통령으로부터 국채를 받은 것이라고 선전했지만 이 역시 허위로 드러났다고 검찰은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