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공청회는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이 마련한 제2차 지적재조사 기본계획(안)과 한국법제연구원이 마련한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령 개정(안)에 대해 각계각층의 폭넓은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청회에는 관련 전문가와 지자체 공무원, 한국국토정보공사 및 측량 관련 산업계 관계자 등이 참석해 자유로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학계와 지자체 공무원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 패널 토론도 진행된다.
제2차 지적재조사 기본계획은 오차 없는 한국형 스마트 지적을 완성하기 위해 향후 5년간(2016~2020년)의 정책 기본방향과 추진전략을 담고 있다.
이번 계획은 지난 2013년에 수립한 제1차 지적재조사사업 기본계획에 대한 성과평가를 바탕으로 지적재조사사업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추진전략 및 중점과제로 제시함으로써 국민의 재산권을 보호하고, 국토의 효율적 관리 기반을 구축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제2차 기본계획에 담긴 3대 추진전략은 가치 창출형 지적재조사 및 세계측지계 기반 지적 구축 등을 통한 ‘국민 맞춤형 디지털지적 구현’, 안정적 재원조달 기반 마련 및 국민 소통형 사업추진 등을 통한 ‘지속 가능형 추진체계 확립’, 연계사업과의 협력체계 강화 및 공간정보융합기술 개발 등을 통한 ‘공유·개방형 공간정보 활성화’ 등으로 요약된다.
이와 함께 지적재조사사업에 투입하는 사업비의 연도별 집행 및 배분계획 등도 제시한다.
국토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검토·반영해 제2차 지적재조사 기본계획을 수정한 후 관계기관 협의와 중앙지적재조사위원회 심의를 거쳐 오는 3월에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