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쇼박스 제공]
누군가 우스갯소리 한 말이지만 사람들은 어렴풋이 이해하고 있다. 배우 강동원(35)은 이제 하나의 장르이자 카테고리라는 것을.
최근 영화 ‘검사외전’(감독 이일형·제작 ㈜영화사 월광 ㈜사나이픽처스·제공 배급 ㈜ 쇼박스) 개봉 전 아주경제와 만난 강동원은 장르, 카테고리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었다. 매번 다른 옷을 입고, 리듬을 변주하지만, 강동원이라는 색채만큼은 분명하다.
영화는 억울하게 살인 누명을 쓰고 수감된 검사 변재욱(황정민 분)이 감옥에서 만난 전과 9범 꽃미남 사기꾼 한치원(강동원 분)과 손잡고 누명을 벗으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극 중 강동원은 거짓말로 점철된 사기 전과 9범의 한치원 역할을 맡았다.

[사진=쇼박스 제공]
“‘검사외전’을 두고 누군가 ‘범죄오락강동원’ 영화냐고 말하는 걸 들은 적이 있어요. 이게 좋은 말인가 싶기도 해요. 잘 모르겠어요. 장르가 되었다는 말에 큰 의미는 두지 않아요.”
담담한 어투, 꼿꼿한 태도는 늘 변함이 없다. 전작의 흥행과 ‘검사외전’의 뜨거운 반응으로 들뜰 수도 있을 텐데. 그런 기색 없이 조곤조곤 상황들을 되짚는다. “예상했던 반응 그대로”라며 계산한 과정들을 설명하면서 답이 딱 맞아떨어진 것에 대한 만족감은 지우지 않는다.
“지금 나오는 반응들은 영화를 찍으면서 예측했던 것들이에요. 거의 비슷하게 맞아떨어진 것 같아요. 먼저 가장 우려했던 것은 이야기가 특별하지 않다는 것이었고, 가장 자신 있던 건 캐릭터가 좋다는 점이었죠. 역시나 두 이야기 모두 언급이 되는 상황이에요. 한고비 넘겼다 싶었죠.”
전형적인 ‘팝콘 무비’기 때문에 작품에 대한 무게는 덜했던 게 사실이다. 즐거운 마음으로 작품에 임했고 캐릭터 역시 더욱 친근하게 다가가고자 했다. “‘전우치’나 ‘그녀를 잊지 마세요’도 가볍기는 했지만” 이만큼 가벼운 캐릭터는 처음이었다.
“포인트를 잡은 건 치원이 하는 말 중, 어떤 게 거짓말이고 진짜인지 모르게 하는 것이었어요. 표정이나 제스처가 제게는 없는 지점이 많았기 때문에 신경을 많이 썼죠. 목표했던 대로 귀엽게 잘 나온 것 같아서 만족스러워요. 이미 시나리오상에서도 귀여움이 충분히 드러났기 때문에 제가 따로 더할 건 없었어요. 그 허술함을 강조하는 것 말고는요.”

[사진=쇼박스 제공]
치원은 그야말로 “입만 열면 거짓말을 하는” 남자다. 늘 언급하는 아버지는 정말 돌아가셨는지, 살아계신 지 모를 정도로.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피하는 편이다. 강동원 역시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말은 진짜라는데 제 생각엔 이마저도 거짓말일 수도 있을 것 같다”며 웃는다. 스스로도 치원을 믿지 못하겠다는 말이다.
“이런 캐릭터는 한국영화 역사상 처음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어요. 사례가 없다고 볼 수 있죠. 사연도 없고 밑도 끝도 없잖아요. 대개 이런 캐릭터들은 아픈 상처가 있고 이렇게 살 수밖에 없는 사연이 있지만, 치원이는 아닌 것 같아요. 고생 안 하고 여자를 행복하게 하는 것이 목표잖아요.”
그의 말마따나 치원은 다른 캐릭터에게 ‘사례’가 될 만하다. 정의에는 관심 없고 진실 따위 나 몰라라 하면서 제 살길은 확실히 찾고자 한다. 제 입으로 자신을 명품이라 칭하고 외모에 대한 자신감과 허세는 국가대표급이다. 그 잘생긴 외모로 하는 일이라고는 여러 여자를 등쳐 먹는 것. 그런데도 “모두가 행복하면 장땡”이란다.
“처음 대사 할 때부터 낯부끄러워서 죽는 줄 알았어요(웃음). 치원이 하는 말들은 평소에 제가 해보지 않은 말투들이니까요. 익숙하지 않았거든요. 연기하는 입장에서도 처음 캐릭터를 맞춰나갈 때 ‘이게 맞나? 아닌가?’ 싶었어요. 적응하는 시간이 걸리기까지 할 때마다 창피하더라고요. 아무에게나 윙크 날리고 작업 거는데, 제 상대역인 분들도 적응이 안 됐을 걸요.”

[사진=쇼박스 제공]
꽃미남. 강동원이 맡은 캐릭터 앞에 늘 붙던 말이었다. 거기에 이번 역할은 대놓고 ‘꽃미남 사기꾼’이라니. 조금 멋쩍을지도 모르겠다 싶었다. 어쩌면 한계로 느껴질 수도 있는 그 수식어에 대해 강동원은 어떻게 생각할까.
“부담은 없어요. 각자 맡은 일, 자기가 할 일을 하는 거니까요. 제게 가장 큰 관심은 관객들이 느끼는 것들이에요. 관객들에게 일정 수준의 배신은 재미를 느끼겠지만 너무 큰 배신은 오히려 반감을 살지도 모르거든요. 기대한 걸 만족하게 하면서 ‘이런 면이 있었네?’라고 생각해야지 영화를 보면서 ‘어머 얘 왜 이래’라면 아닌 거거든요. 일부러 저를 망가트릴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
영화 ‘검은사제들’에 이어 ‘검사외전’, 차기작인 ‘가려진 시간들’까지. 강동원은 신인 감독과의 작업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시나리오가 좋아서 하는 것일 뿐”이라고 담담하게 말하면서 “베테랑보다는 단점이 많을지도 모르지만 거부할 필요는 없다”고 더한다.
“대신 제가 걱정하는 건 BEP(손익분기점)죠. 자랑이지만 사실 제 영화가 실패한 적은 거의 없으니까요. 크게 흥행하지는 못했어도 투자한 분들이 손해는 안 보게끔 해야죠. 제 목표기도 해요. 상업 배우로서 가져야 할 책임감은 늘 있어요.”
BEP를 걱정하는 배우. 스태프들의 환경에 대해, 감독들의 고민에 대해 함께 나누는 배우. 그는 항상 “내가 열심히 해야 빨리 끝난다”며 “그래야 스태프들이 편하다”고 말한다. 촬영 환경 개선에 관해 관심을 기울이고 스태프들의 고충을 함께 나누기도 한다.
“한국 영화도 촬영 환경이 좋아질 수 있어요. 우리도 인간답게 찍으려면 배우들이 일선에 나가야 한다고 생각해요. 좋은 환경을 만나려면 우리가 먼저 노력해야 하는 게 아닌가 싶어요.”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