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3/14/20160314075325869751.jpg)
14일 이마트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라면 매출 중 프리미엄 라면 비중은 61%에 달했다. 지난해 같은달(22%)과 비교하면 세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이다.
지난해 농심 '짜왕'을 필두로 인기가 급상승한 프리미엄 라면은 최근 오뚜기 '진짬뽕' 등 짬뽕라면이 인기를 이어가면서 비중이 급증했다.
이에 따라 묶음당 2000원대 후반∼3000원대 중반이었던 기존 라면을 제치고, 4000원대 후반∼5000원대 초반의 프리미엄 라면이 대형마트의 주력 상품으로 떠올랐다.
지난달 이마트 고객의 라면 객단가(라면 구매 시 결제금액)는 6520원으로, 작년 2월(5559원)과 비교하면 1000원 가까이 늘었다. 객단가가 1년 만에 961원 상승한 것으로, 증가율은 17.3%이다.
자연히 전체 라면시장 평균 단가도 올랐다.
AC닐슨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 소매시장에서 전체 라면 판매액은 1952억원, 판매수량은 2억3445만개였다. 1개당 평균 단가는 833원이었다.
작년 1월 라면 1개 평균 단가는 735원으로 집계돼 프리미엄 라면 매출 급증으로 1년 만에 평균 단가가 100원 가까이 상승했다.
일각에서는 라면업체들이 고급 라면을 잇따라 출시하는 것에 대해 '꼼수' 가격 인상이라고 지적한다.
대표적인 서민 식품으로 꼽히는 라면은 가격 인상에 대한 저항이 크기 때문에 기존 일반라면 가격은 올리지 못하고, 고급을 표방한 신제품으로 가격 인상 효과를 얻고 있다는 주장이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10일 "프리미엄 제품임을 고려하더라도 원재료가격 대비 전체 가격 인상 폭이 지나치게 크다"며 "프리미엄 라면 가격을 높게 설정해 라면가격 인상을 유도하는 것이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고 꼬집었다.
반면에 건강한 식생활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프리미엄 라면이 더 질 좋은 제품을 찾는 소비자의 요구가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라면업체 관계자는 "소비자들의 기호가 바뀌면서 고급 제품을 원하는 수요가 많아졌다"며 "소비자가 외면하면 고급 제품을 출시해도 살아남기 어려우며 프리미엄 라면을 가격 인상 꼼수로 보는 것은 무리"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