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포그래픽 제20호 충남 석탄화력발전 현황[충남연구원 제공]
아주경제 허희만 기자 =최근 석탄화력발전소가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는 가운데, 충남의 석탄화력발전소 현황을 보여주는 인포그래픽이 나왔다.
충남연구원이 발표한 ‘충남 석탄화력발전 현황‘ 인포그래픽에 따르면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53개 중 26기가 충남에 밀집해 있다. 더구나 신규로 7기가 건설되고 있고, 2기가 계획 중에 있다.
충남에는 1983년에 처음으로 보령화력 1, 2호기와 서천화력 1, 2호기가 준공됐다. 태안화력 1, 2호기는 1993년에, 당진화력 1, 2호기는 1993년에 추가됐다.
이후 꾸준히 늘어나 현재 보령화력 8기, 서천화력 2기, 태안화력 8기, 당진화력 8기가 운영 중이다.
석탄화력발전소 별로 가동년도도 다르고 이에 따라 연료 사용량, 전력생산량, 오염물질 배출량에도 차이가 있다.
발전소별로 보면, 보령화력에서는 50만kW급 1~8호기가 가동 중이며, 100만kW급 신보령화력 1~2호기가 가동 예정중이다.
서천화력에서는 20만kW급 1~2호기가 가동 중이며, 올해 7월 100만kW급 신서천화력 1호기가 착공했다.
태안화력에서는 50만kW급 1~8호기가 가동 중이며, 100만kW급 9~10호기가 가동 예정 중이다.
당진화력에서는 50만kW급 1~8호기와 100만kW급 9호기가 가동 중이며, 100만kW급 10호기가 가동을 앞두고 있다.
특히, 당진화력 인근에 당진에코파워 석탄화력발전소 1~2호기(50만kW급)가 추가 계획 중이어서 문제가 되고 있다.
김홍장 당진시장은 당진에코파워 증설 중단 등을 요구하면 일주일 넘게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단식농성을 하기도 했다.
충남연구원 여형범 책임연구원은 “불량 식품이 밥상에 오르도록 하면 안 되듯이 값싸다는 이유로 불량 전기에 의존해서는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충남연구원은 지난 6월 22일 제1차 세미나를 시작으로 총5회에 걸쳐 2주 간격으로 석탄화력발전 및 미세먼지와 관련된 연속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다음 제4차 세미나는 8월 초 예정이며, ‘정부 미세먼지 대책 분석 및 추가제안’을 주제로 진행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