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새누리당 홍철호 의원(경기 김포을, 안전행정위원회)이 국민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소방용 드론은 6월말 기준 전국 소방서 6곳에 총 9대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별로 보면, 전북에 가장 많은 3대의 소방용 드론이 배치되어 있고, 서울(2대), 울산(2대 : 2곳 소방서 각 1대씩 보유), 부산(1대), 강원(1대) 등 이상 5개 지역에서 300~4,000만원의 금액에 해당하는 드론을 실전 배치하고 있었다.
국민안전처는 해당 소방용 드론의 배치목적이 「화재 및 인명 수색· 구조 업무」 수행이라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장비를 전혀 활용하고 있지 않았다.
울산 ․ 강원 역시, 월평균 50~70여건의 「화재 및 인명 수색·구조건」이 발생했지만, 소방용 드론이 실제 쓰인 적은 단 한 건도 없었다.
다만, 서울은 소방용 드론이 배치된 후 총 10,665건의 사고가 발생한 상황에서 드론은 단 8회만 출동했다.
매달 970여회 사고가 일어났는데 소방용 드론이 월평균 0.7회만 출동한 것이다.
전북도 지난 2월에 드론을 배치한 후 총 600여회의 사건․사고가 발생했지만 실제로 드론이 쓰인 것은 3차례(월평균 0.6회)에 불과했다.
이들 소방용 드론에 투입된 1억원이 넘는 국민혈세가 전혀 쓸모없게 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지자체들은 소방용 드론에 대한 올해 예산을 12억 1,800여만원이나 편성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가 소방용 드론에 11억 9,900만원을 편성했고, 충남·경남·경북이 각각 500~900만원의 예산을 마련했다.
특히 서울시의 경우 해당 예산으로 소방용 드론 7대를 1차 개발했지만 아직 실전 배치해서 사용하고 있지는 않았다.(2차 개발 8~10대 예정)
국민안전처 관계자는 소방용 드론의 활용도가 저조한 이유에 대하여 비행 가능시간이 18~25분에 불과한 점, 고온의 화염 환경에 견딜 수 없는 현 장비의 한계점, 드론 조작요원이 부족한 점 등을 꼽았다.
홍철호 의원은 “쓰지도 않는 드론을 국민 혈세를 들여 도입하고, 또 다시, 「전시행정」, 즉 준비가 덜 된 상황에서 ‘보여주기식’이나 ‘홍보 목적용 드론’으로 재도입하는 건 큰 문제”라고 지적하며, “하지만 드론의 미래가치는 분명히 존재한다. 드론 산업을 안전분야에 접목시켜, 산이나 화재현장을 자유롭게 수색하고 야간까지 원활히 정찰할 수 있을 정도로 장비 기술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홍철호 의원은 “국민안전을 위한 「R&D 투자 확대」와 첨단장비를 「실전 배치화」시키는 로드맵 마련, 그리고 「소방용 드론 전문가 육성」을 포함한 담당 인력 확충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